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자연인 되고파~~^^
자연인 되고파~~^^22.09.28

환율이 1500~1550원이 될 경우 우리나라 경제상황은 어떻게 예상 될까요 ?

안녕하세요

환율이 너무나 급등하고 있습니다.

물론 위안화, 엔화 유로화, 파운드화 모두 달러 강세에 맥을 못 추고 있습니다.

어던 경제학자 및 외국의 경제인들은 달러 강세에 유난히 한국의 경제가 우려 된다고 합니다.

환율이 1500~1550원으로 상승 될경우 우리나라에 파급되는 경제적 영향은 어떻게 될까요.

고수님의 자문을 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 경제가 우려되는 이유에는 크게 2가지를 들수 있을 것 같습니다.

    1.개인부채의 심각성과 과도한 변동금리비율(80%이상)

    2.실제 외환보유고의 부족(보유고의 허수)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가 빠르게 상승됨에 따라서 우리나라와의 금리차이가 심하게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서 환율이 천정부지로 솟아오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 외환보유고가 4,360억달러에 달하지만 이중에서 1,500억달러 정도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달러대출을 받았던것을 상환해야하는 자금으로 충당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제는 3,100억달러 정도로 생각해야 합니다.

    우리나라가 부채리스크로 인해서 금리인상을 하지 못한다는것을 해외투자가들도 잘 알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하반기 금리인상 추이를 보면서 금리인상이 빠르지 못할 경우 외인들의 자금이탈이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로서는 금리인상을 할수 밖에 없는데 금리인상을 단행할경우 우리나라의 개인의 부실이 크게 발생하고 현재 정부도 부채가 많은 상황이라서 개인들 전체를 구제하기 위해서는 금융기관이 분담을 해야하는데 결과론적으로는 산업전반의 부실화로 번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것입니다.

    결국 이러한 상황을 가정하기에 한국경제가 무너질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네요.

    좋은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달러당 1,500원이 가시권으로 들어온 상황입니다. 익히 아시겠지만 한국 원화만 미달러 대비 평가절하 되고 있는 것이 아닌 거의 모든 통화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고 있습니다. 환율이 더 올라가면 수입 물가 부담이 커지고 한국은행도 다소 크고 빠른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가계부채 문제와 경기 상황이 좋지 못하나 환율을 너무 방치하면 금융 시장부터 흔들릴 가능성이 있어 일정 부분 미국처럼 경기 침체에 대한 리스크를 안고 금리 인상부터 다음달 금통위 회의에서 결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 말씀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이 1500원까지 올라간다면 제조업 중심의 우리나라는

    원자재의 대부분을 수입하는 경우가 맣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환율이 높아지면 원자재 수입단가가 높아짐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들이 수출 가격경쟁력을 잃을 가능성도 크며

    우리나라 수입물품의 단가가 높아져 물가상승을 초래함과 동시에

    외인의 자본이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이 1,500원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우리나라 경제의 경우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심하면 외환 위기의 우려가 제기될 수 있으며, 또한 환율 상승이 지속될 경우 현재 경제에 가장 중요한 이슈인 물가를 잡는데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