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이면수를 간혹 먹어봤는데 이름이 특이하네요.

고등어 비슷한고기던데 이면수의 특징에대해서 알고싶고 이름이 무슨의미가 있는건지도 궁금합니다. 잘안쓰이는 이름인거 같은데?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임연수어입니다.

    이름이 특이해 보이는 것은 사람이름이 들어가 있어서죠.

    임연수라는 사람이 잘 낚아 올려서 사람들이 임연수어라고 부르던 것이 아예 생선의 이름으로 굳어졌습니다.

  • 이면수를 임면수라고 부릅니다.

    즉, 임면수어라고 부르는 것이 정식 명칭 이구요.

    임면수어는 쥐노래미과에 속하는 물고기의 일종으로 구 개체군은 호오츠크 얀안에서 발견이 됩니다.

    임연수어가 등장하는 가장 오래된 문헌은 동국여지승람에 기록 된 것입니다.

    표기는 난호어목지에 등장하며 임연수 라는 사람이 물고기를 잘 낚아서 이름이 유래했다는 민간어원도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 임연수라는 사람이 낚아 임연수라 불리웠다는 얘기가 있는 임연수어는 식탁에 자주 오르는 바다 생선 중 하나입니다.

    경남을 비롯한 전국에서 이면수라고도 불리며, 함경북도에서는 이민수, 함경남도에서는 찻치, 강원도에서는 새치, 다롱치, 가지랭이라고 한다. 어릴 때에는 청색을 띠기 때문에 청새치로 불리기도 한다고 합니다.

  • 이면수가 고등어과 생선인데 이름이 참 재밌게 지어졌답니다.

    옆구리에 검은줄무늬가 있어서 이름이 이면수가 된건데

    이게 먹물로 그은 선처럼 보인다고 해서랍니다

    근데 이 생선이 우리나라 남해안이랑 제주도 근처에서 많이 잡히는데 크기는 고등어보다 좀 작은편이에요

    이제 맛은 고등어랑 비슷하면서도 더 담백하고 부드러운게 특징이구요

    지방도 고등어보다는 적어서 담백하게 구워먹기 좋은데 DHA랑 오메가3 같은 영양소도 풍부하답니다

    옛날에는 이면수가 흔했다고 하는데 이제는 어획량이 줄어들어서 시장에서 보기가 쉽지않아요

    그래서 요즘은 횟집이나 생선구이집에서도 잘 안보이는데

    가끔 남해안 쪽 횟집에서는 볼 수 있다네요

    이 생선이 워낙 맛있어서 일본에서는 고급생선 취급을 받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잘 모르는게 좀 아쉽답니다

    근데 재밌는건 지역마다 부르는 이름이 달라서 청어과메기 청갈치라고도 부르는데

    이름만 들어도 맛있어 보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