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신라의 법흥왕은 왜 불교를 공식 종교로 채택을 했을까요?
신라가 불교를 국교로 선정한 그 당시 시대적인 배경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혹시 정치적인 목적으로 불교를 선정한 배경도 있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사실 지금의 불교와는 조금 다른 상황이라 할 수 있는데요. 삼국시대는 중앙집권적인 국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왕의 절대적인 권한과 존경 등이 있어야 하는데, 이때 불교가 활용되게 되죠. 불교가 일반 백성들을 구제하는 성격도 있었지만 왕의 입장에서는 호국신앙의 성격을 더 선호하였기에 불교가 왕권강화와 딱 맞아 떨어지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삼국은 고대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국가 통합과 왕권 강화의 필요성 때문에 불교를 수용하였습니다. 그러나 신라는 기존 토착 신앙의 귀족 세력은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불교 수용을 거부하였습니다.
따라서 법흥왕은 불교를 공식 종교로 채택한 것은 단순히 종교적 선택이 아니라 왕권 강화, 중앙집권 체제 구축, 사회 통합을 위해 불교를 공인하려 하였으며, 이차돈의 순교 희생 과정을 거쳐 가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