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알뜰살뜰
알뜰살뜰23.12.29

임신 계획중입니다. 임신전검사 언제 해야할까요?

나이
27
성별
여성

안녕하세요. 이제 28살이 되는 97년생 여자입니다.



일단 계획처럼 될지는 알 수 없지만


24년 6월에 임신을 하고


25년 3월/4월에 아기를 낳는 게 목표입니다.



이제 임신까지 6개월이 남았는데


뭘 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1. 인터넷에서는 임신전검사효력은 3개월 전이라고 하고..


지금 임신전검사를 받는게 맞을지??????



일단 보건소에서 남편과 무료 임신전검사는 받았고



내일 토요일에 국가건강검진을 받고난 후


남편과 A산부인과(이곳에서 임신하고 출산까지 할 계획)에 방문해서 정밀 임신전검사를 받으려 합니다.



2. 근데 내일 A산부인과 예약이 꽉 차서 B산부인과를 가서 임신전검사를 받을까 하는데.. 그래도 괜찮을까요?


나중에 A산부인과에서 한번 더 하게 될까요????


그럼 비용이 두배로 나가니까요 ㅠㅠ



3. 정밀임신전검사 받으면 예방접종도 맞아야할 게 있는지도 다 봐주는 거 맞죠?


풍진검사나 에이즈 기형아검사 유전검사 질염 등등? 어떤 항목을 받는건가요??


필수항목 선택항목도 있던데 선택항목까지 다 받아야할까요????



+ 자궁암검진은 국가건강검진과 중복이니까 안받아도되나요? 자궁경부암이랑 달라서 받긴해야할까요?




아이를 처음 임신하니까


모르겠는거 투성이고 어렵네오


제발 도와주세요 ㅠㅠㅠㅠ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임신 전 검사는 임신 계획을 세우고 3개월 전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신 전 검사는 임신 전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임신에 필요한 영양소를 보충하며, 예방접종을 맞는 등의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 임신 전 검사에는 풍진 검사, 에이즈 검사, 기형아 검사, 유전 검사, 질염 검사 등이 포함됩니다. 임신 전 검사를 통해 임신에 필요한 영양소를 보충하고, 예방접종을 맞으면 임신과 출산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임신 전 검사를 통해 임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계획을 세우고 있다면 임신 전 검사를 꼭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임신 전 검사는 산부인과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임신 전 검사를 받으실 때는 산부인과 의사와 상담하여 어떤 검사가 필요한지 확인하고, 검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자궁암 검진은 국가건강검진과 중복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궁암 검진은 국가건강검진과 별도로 받아야 합니다. 자궁암 검진은 자궁경부암과 자궁내막암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자궁암 검진은 산부인과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자궁암 검진을 받으실 때는 산부인과 의사와 상담하여 어떤 검사가 필요한지 확인하고, 검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