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우렁찬도마뱀39
우렁찬도마뱀3923.04.19

소련의 대통령 고르바쵸프에 대해 어떤인물이었으며 현재 생존해있는지 알고싶어요~

소련의 대통령 고르바쵸프에 대해 어떤인물이었으며 현재 생존해있는지 알고싶어요~ 대표적 독재 지도자로 알고 있는데 역사적 사건과 인물에 대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련 및 러시아의 정치인으로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6대 서기장,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과 최고회의 주석을 거쳐 소련의 최초이자 마지막 대통령으로 재임했으며 1985년부터 1991년 소련의 최고 권력자로 재임하면서 소련 내 개혁 정책인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를 추진했습니다.

    동시에 20세기 후반을 대표하던 미국과 소련 간 냉전을 종식시킨 인물이자 소련 해체를 야기한 정치인을 평가 받으며 그는 2022.8.30 91세의 나이로 사망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련의 고르바쵸프는 2022년 91새의 나이로 사망 한 인물 입니다. 고르바초프 개혁의 원본 노선은 공산당 일당 독재 체제였던 소련과 중앙/동유럽을 사회민주주의 국가로 바꾸는 것이였다고 합니다. 소련 공산당 역시 이전 프라하의 봄 당시 추진되었던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와 비슷하게, 공산당 내부에서 민주주의 요소를 강화해 정치적, 사회적 민주주의를 강화하고 순수 계획경제에서 혼합경제로 이전, 복지나 사회보장제도는 전과 비슷하게 하고 기업의 자율성을 인정하면서 브레즈네프 이래로 만연했던 생산성 저하를 극복하려고 하였다고 합니다. 즉, 그는 전반적으로 공산주의 체제를 북 유럽식 시민 주의 체제로 전환하려고 했습니다. 이를 페레스트로이카라고 했습는데 '재건', '개혁'이라는 뜻을 가진 러시아어로,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1985년 3월 소련 공산당 서기장에 취임한 후 실시한 개혁 정책으로서 소련의 정치 뿐만 아니라 세계 정치의 흐름을 크게 바꾸어 놓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효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르바초프는 전소련의 마지막 지도자로 한국이 북방외교를 통해 국제무대에서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한 인물로 평가되고있다. 91세를 일기로 지난 22년 9월 30일 타계한 고르바초프는 한반도와도 깊은 인연을 맺으며 남북한 모두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북한의 강력한 반대에도 90년9월 한국과 수교한 것이 가장 큰 유산 중 하나로 꼽힌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련의 대통령 고르바쵸프는 소련 및 러시아의 정치인으로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 6대 서기장 소련 최고회의 상무와 주석과 최고회의 주석을 거쳐 소련의 최초이자 마지막 대통령으로 재임 하였습니다.

    고르바쵸프는 1985년 부터 1991년 까지 소련의 최고 권력자로 재임하면서 소련 내 개혁 정책인 글라슨노스트(개방)과 페레스트로이가(개혁)을 추진했습니다. 동시에 20세기 후반을 대표하던 미국과 소련 간 냉전을 종식시킨 인물이자 소련 해체를 야기한 정치인으로써 평가를 받습니다.

    고르바쵸프는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는 동구 사회주의 국가들과 소련 내 공화국을 억압하지 않고 냉전을 평화적으로 끝냈으며 동서관계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킨 공로로 1990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하였습니다.

    고르바쵸프는 지금은 생존하지 않은 상태 입니다. 향년 91세로 나이로 사망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하일 세르게예비치 고르바초프(러시아어: Михаи́л Серге́евич Горбачёв, US: /-tʃɔːf, -tʃɛf/;[2][3][4] 듣기 (도움말·정보), 문화어: 미하일 쎄르게예비치 고르바쵸브, 영어: Mikhail Sergeyevich Gorbachev, 1931년 3월 2일~2022년 8월 30일)는 러시아인이자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인이었다. 그는 소련 8, 9대와 마지막 11대 소련 지도자였으며, 1985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 공산당 서기장,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 최고 소비에트 상임위원회의 의장을, 1989년부터 1990년까지 최고 소비에트의 의장을 지냈다. 권력을 박탈당한 그는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새로운 직위인 소련 대통령을 만들어 명목상으로 집권하였다. 고르바초프는 자신의 집권기 초기에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고수했으나, 1990년대 초부터 사회민주주의적인 정책을 펼쳤다.

    -출처: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