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대단한친칠라280
대단한친칠라28023.05.01

반도체 산업의 회복은 언제쯤 가능할까요?

최근 14개월 연속 무역수지 적자의 주요원인 중 하나는 반도체 수출 부진이라고 합니다. 무역수지 개선 및 경제 회복을 위해서는 반도체 산업의 턴어라운드가 필요한데 언제정도 가능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반도체산업은 메모리가 주인데, 메모리는 NAND와 DRAM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NAND메모리 수요는 올 하반기부터 회복이 예상되고 DRAM은 올해도 수요회복이 어렵고 내년이후에나 수요회복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반도체와 같은 경우에는 경기가 회복되어야만이

    이에 대한 수요도 늘어남으로써 회복됩니다.

    아직은 경기침체 우려가 큰 만큼 반도체 산업이

    회복되기 어려울 것 같으며 올 분기부터 시장에서는

    반도체 수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반도체는 대표적인 경기민감주로 세계경제가 회복해야 어느정도 수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 미국의 금리부터 안정기에 접어 들어야 가늠해 볼 수 있겠네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반도체 산업은 이제 모든 산업에 들어가는 '핵심 원자재'의 역할을 하는 산업이 되었기에 경제의 사이클과 동일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금은 작년부터 시작된 빠른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시장의 수요가 급격하게 냉각되면서 글로벌 소비침체가 발생한 상황으로서 금리인하가 예상되는 시점부터 소비가 조금씩 살아나기 시작하면서 원자재에 대한 수요 즉, 반도체에 대한 수요 또한 회복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렇기에 현재로서는 금리인하가 예상되는 시기는 빠르면 올해 연말 혹은 내년 상반기로 예상되기 때문에 원자재에 대한 수요 증가는 그보다 조금 앞선 시기인 하반기 중순이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반도체 업황에 대한 개선 또한 하반기 중순부터 회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