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따뜻한호돌이244
따뜻한호돌이244

장어즙이 곰탕처럼 젤리 현상이 나타는데 왜그런가요?

장어즙 성분이 원물 70% 정제수 포함 부재료 30% , 한방재료 없음

곰탕은 젤리 처럼 굳는게 뭐 묵화현상?인가 그렇다고하는데 사전에 등재된 언어는 아니더라구요

이거 혹시 왜 굳는가요??

굳는게 좋은가요? 좋으면 어떤 성분때문에 좋은것인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곰탕이나 유사한

      육수들이 식으면 젤리처럼 굳는

      현상은 콜라겐이란

      단백질과 관련이 있습니다.

      콜라겐은 동물의 결합 조직에

      풍부하게 있으며 고온에서 오랜 시간

      조리할 때 콜라겐이

      젤라틴으로 변하게

      됩니다.

      젤라틴은 물과 결합하여 겔 형태

      를 만들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육수가 식으면서

      젤라틴 분자

      들이 서로 결합해 견고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때

      물을 갇혀 젤 형태로 굳게 만듭니다.

      이를 우리는 묵화 현상이라고

      부를 수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특성은 육수의 풍부한 맛과

      시원한 식감을 주는

      원인이 됩니다.

      굳는 것이 좋다고

      여겨지는 이유 중

      하나는 굳은 육수에는

      콜라겐이 변환된

      젤라틴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젤라틴은 소화가 잘 되고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건강에 이롭

      습니다.

      아미노산 중에서 글리신은

      장 건강 면역 시스템 수면의 질 개

      선 등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곰탕이나 다른 육수가

      젤리처럼 굳는

      것은 그 자체로

      좋은 질의 단백질과

      아미노산을 섭취하고 있음을 나타

      낼 수 있으며

      이는 주로 육류를 오랜 시간동안 푹

      고아내면서

      추출한 콜라겐과

      젤라틴 때문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장어의 껍질에는 젤라틴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고아 놓으면 젤리처럼 굳는 현상이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