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성골과 진골의 차이는 무엇이었나요?

진평왕이 신라의 마지막 성골출신 남성 왕이라고하던데 신라의 지배계층인 성골과 진골의 차이는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가요? 성골은 왕족간에 혼인한 때만을 성골로 보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골과 진골을 나누는 기준은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먼저 진흥왕의 직계(성골) 및 방계(진골)를 구분할 수 있어요. 그리고, 성골은 왕족 내부의 근친으로 태어난 순혈 집단이지만 진골은 다른 귀족의 혼인으로 태어난 집단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혈통상 모계(母系)에 의한 결정입니다. 즉 어머니 혈통에 의해 골품이 결정되는 것입니다. 그 외에도 정치적인 면에서 구분하여 왕실 직계의 왕위 계승자 및 왕위 계승을 보유할 수 있는 제한된 근친자만 성골이라 칭하고, 그 외 소외된 왕족은 진골이 되었을 주장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에 관한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서

    그 둘이 왜, 어떻게 구분되는 지는 전해지지 않았습니다.

    일단 성골 출신왕이 일정 시기 이후로 아예 사라지는 것을 볼때

    성골은 성골끼리 결혼해야 자식도 성골 이었던 거 같다 고 추측될 뿐이죠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성골은 부모 양쪽 모두 귀족인 경우, 진골은 부모 중 한쪽만 귀족인 경우였으며 성골이 가장 높은 골품, 그 다음이 진골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골과 진골은 진흥왕의 직계(성골) 및 방계(진골)를 구별하기 위한 표현인데 성골은 왕족간에 혼인하여 태어난 왕족을 말하며 진골은 왕족과 다른 귀족의 혼인으로 태어난 집단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심라시대의 가장 높은 계급인 진골 성골 두 가지 계급 체제는 비슷한 듯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는데요. 가장 큰 특징은 진골은 왕위 계승권이 없는 계급이고, 성골은 박혁 거세의 적통 이기에 왕이 될 수 있는 가장 높은 계층이었다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