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블랙홀에 들어가게되면 가진 모든 정보가 날아가버린다는데 그때 정보는 무슨 정보인가요?

블랙홀은

무한한 중력을 가지는 미지의 천체로

일단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서는 순간

필요 탈출속도가 광속이상이 되어버리기에

물리적으로 광속을 초과할 수 없는

이 물질 세상에서

어느것도 사건의 지평선 안에가면 탈출이 안되는데요.

그렇게 일단 블랙홀로 들어가게되면

물질이 가진 정보를 모두 소실하게 된다던데

그때 말하는 정보는 무슨 정보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블랙홀안은 관측이 불가능하지만 아마도 블랙홀에 빨려들어가면 원자단위로 분해되어 사라지게 될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정보를 소실한다는 뜻은, 바깥에서 보기에 안쪽을 전혀 관측할 수 없다는 말을 의미하는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정보의 소실의 정보는 일반적으로 양자역학에서 정의하는 상태의 정보를 의미하며 물질이나 입자의 양자상태를 설명하는 모든 특성입니다! 위치, 운동량, 스핀, 전하 등 물리적 상태를 기술하는 모든 양자수를 포함하며 물질이 블랙홀에 들어갈때 그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들의 상태와 특성 역시 포함되게 됩니다! 블랙홀 정보 소실문제는 블랙홀에 들어간 물질의 정보가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가면서 사라지는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의미하며 양자역학의 기본 원칙중에 하나인 정보보존 원칙과 충돌하지 않고 어떤 물리적 과정에서도 정보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보존되는것을 의미하며.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서게 되면 빛조차도 빠져나올수 없는데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정보는 외부로 전파될수 없으며 블랙홀 내부로 들어간 물질의 정보는 외부 관찰자에게 영원히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게 될것이죠! 하지만 스티븐 호킹이 블랙홀이 호킹복사를 통해 열복사를 방출하면서 증발한다는 것을 이야기 하였고 순수하게 열적이고 무작위적이기 때문에 블랙홀에 빨려들어간 물질의 원래 정보를 전달하지 않게 되어 정보가 완전히 소실되는 것처럼 보이는 정보의 역설 문제가 나타나게 된것이죠! 이 정보의 역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정보의 보존(어떠한 형태로든 정보는 보존되며 사건의 지평선 바깥에서 이를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은 있음), 복사속정보(호킹복사에 의해 방출되는 입자들이 실제로 정보를 담고있을가능성이 있음), 양자 중첩(블랙홀 내부와 외부의 상태가 양자적으로 얽혀잇을 가능성이 있음), 나비아가설(사건의 지평선에서 정보가 저장될수 있음)등으로 역설을 해결하기 위한 가설들을 이야기하게 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