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비범한애벌래228
비범한애벌래22822.11.10

밀물이랑 썰물이 생기는 이유가 뭔가요?

서해안에 밀물과 썰물 현상이 뚜렷한데요

밀물이랑 썰물이 생기는 이유는 뭔가요?

그리고 왜 서해안만 그런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조수간만의 차라고 하는것이죠. 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 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10

    달과 태양의 인력 때문에 발생됩니다.

    태양보다 달이 지구에 미치는 인력이 크기 때문에 달의 영향을 더 받습니다.

    달이 있는 쪽의 지구바다는 밀물이 되고 반대는 썰물이 됩니다.

    서해가 동해 남해보다 간만의 차가 큰 이유는 지형의 특성 때문 입니다.

    서해는 얕고 중국과 한국에 둘러 쌓여 있는 작은 바다 입니다.

    좁고 얕기 때문에 작은양의 물이 들어와도 많은 높이 차이가 발생됩니다.

    동해는 깊고 넓기 때문에 서해와 같은 양의 물이 들어 왔을때 퍼져 나가기 때문에 높이 차이가 많이 나지 않습니다.

    이런 이유로 동해는 조수 간만의 차가 매우 미비하게 나타납니다.


  • 밀물과 썰물은 달과 태양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달과 태양의 인력과 달과 지구가 회전운동할 때 생기는 원심력,

    그리고 지구로부터 달아나려고 하는 힘에 의해 발생합니다.

    달을 향한 바닷물이 달의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반대편 지구의 바닷물은 원심력에 의해 부풀어 오르는데,

    이것이 밀물과 썰물을 만들게 됩니다.

    동해안은 수심이 3700m가 넘지만 서해안은 150m 정도로 매우 얕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더 크게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은 물이 육지로 들어오는 현상이고 썰물은 물이 바다로 나가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달의 인력 때문에 발생합니다. 달과 지구 사이에 인력에 의해 물이 달 쪽으로 쏠리거나 밀려가게 되어서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지구를 공전하는 달의 중력을 따라 바닷물이 따라다니면서 발생합니다.


    지구가 매일한바퀴를 도는동안 달의 중력에 붙잡힌 바닷물쪽의 수위가 높아져 밀물이되고 그렇지않은쪽은 썰물이되는것입니다.


    우리나라의 서해안의 경우 바닷가의 지면이 얕고넓어 그 효과가 더욱 두드러지게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이유는 달과 지구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입니다. 서로 끌어 당기고 있는 힘이 있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태양과 달이 끌어당기는 힘, 즉 인력과 지구의 자전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합니다.

    서해안은 넓은 대륙붕으로 이루어져 있어 동해나 남해 대비 동일 공간에 있는 물의 양이 적어서 그렇습니다.

    당길 수 있는 물의 양이 10이라면 동해는 10의 공간만큼 10의 물이 있고 남해는 20의 공간에 10의 물이, 서해는 100의 공간에 10의 물이 있어 10의 물이 움직이면 동해에서 10만큼 드러나고 남해는 20만큼, 서해는 100만큼 드러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