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본인이 원하는 것을 들어주는 어른을 더 좋아합니다. 이런 어른의 행동이 더 아이의 버릇을 나쁘게 하는 거 아닐까요?
아직 6살이면 애기인데 저한테는 부탁을 잘 안하고 아빠한테 가서 뭐 사달라고 애교도 피우고
그래서 원하는 것을 얻으려고 합니다. 귀엽기는 한데, 부모가 아이가 원하는 것을 거절을 안하고
계속 들어만 주면 습관이 되어서 걱정입니다. 아이가 무엇을 원할 때 현명하게 거절하는 방법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행동은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이지만 부모의 반응 방식이 아이의 성향과 습관에 큰 영향을 줍니다. 지금부터 요구를 조절하는 힘을 기르게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마음을 가장 잘 이해하는 사람을 더 좋아하는 것은 심리적인 이유가 가장 큽니다.
심리적 이유는 자신의 마음이 무엇을 원하는지 잘 케치하고, 그것을 잘 들어주는 어른이야 말로 나를 잘 알고, 나를 아끼고, 나를 사랑한다 라는 마음이 더 커서 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원하는 것을 다 들어주는 습관이 계속 유지 된다면 이러한 것들은 꼭 중요할 때가 아니라 그 모든 것들의 행위가 당연함 이라고 여기기 때문에 아이가 원하는 것을 다 들어주긴 보다는
아닌 것은 아니라고 단호하게 알려주어야 하고, 허용되는 것과 허용되지 않는 것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인지를 시켜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거절을 할때는 안되는 이유를 정확히 이야기를 해주시는것도 좋을수있으며 위험하거나 너무 과한것은 단호히 거절을 해주시는것이 좋을수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하시는 대로 아이의 말을 계속 들어주면 학습 효과가 생기게 되고, 이때 거절하려고 해도 아이는 항상 들어 주었기 떄문에 거절이 낯설어 떼를 쓰거나 당황하게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에게 먼저 약속을 해야 해요. 예를 들어서 오늘은 마트에서 장난감을 사는 날이 아니니 필요한 것만 사고 돌아온다, 이런 식으로요. 그리고 일관적이고 단호하게 사주는 것에 대한 기준을 정해 아이의 행동을 조절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부모가들어줄수있는걸들어준다고 습관이되는건아닙니다
안되는건 그냥 안돼 라고 거절하시면됩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요청을 적절히 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신 대안 제시와 이유를 설명하며 필요한 것과 원하는 것을 구분하도록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