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스왑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가끔식 에어드랍분을 스왑하라는 경우가 있는데
하는것도 맞게하는건지 몇번을 확인하고 복잡한데
스왑을 처음부터 생각하고 발행하는건가요?
아니면 부득이 변경하는 경우인가요?
후자라면 스왑하는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토큰을 스왑하는 이유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메인넷 운영을 위한 토큰스왑
최초 다른 블록체인에서 운영중인 토큰을 자체 메인넷에서 운영하기 위해 스왑(마이그레이션)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최초 ERC-20토큰 기반에서 자체적인 메인넷으로 스왑한 이오스와 트론 등이 있습니다.
사업(용도)변경에 따른 토큰 스왑
사업 계획 변경에 따라 기존 암호화폐에서 다른 암호화폐로의 변환시 사용하며, 상장 후에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오스 블록체인의 케이오스 토큰에서 퍼블리시 토큰으로 스왑한 사례가 있습니다.
댑(DApp)사의 블록체인 변경에 따른 토큰 스왑
댑사는 암호화폐 활용성과 블록체인 기술의 운영성을 고려하여 블록체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댑사에서 원하는 속도나 보안 및 기술지원 등이 만족스럽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다른 블록체인으로 암호화폐를 이전하여 운영하게 됩니다.
최초 ERC-20토큰 기반에서 이오스나 트론, 클레이튼 및 루니버스기반 등 으로 이동하는 사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아하토큰, BORA토큰, 탬코토큰, 스테이커다오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질문에 대한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스왑의 경우는 처음부터 계획하게 하게 되는 경우와 그 반대로 어느 시점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스왑이 이루어 지는 경우의 대부분은 해당 토큰이 메인넷으로 등록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메인넷은 사이드체인 (이더리움 위에 토큰을 올려놓은 형태)에서 독자적인 체인으로 나아가겠다는 겁니다.
메인넷과 토큰스왑을 하게 되면 이제 더이상 해당토큰은 토큰이 아니고 독자적인 체인이된 코인이 됩니다. 때문에 이경우 불가피하게 스왑과정이 이뤄져야합니다.
또한, 불가피하게 스왑이 이뤄져야되는 경우는 해당 토큰이 해킹이 당했거나 기술적으로 문제가 생겼을 경우나 다양한 이유에서 다른 토큰이나 코인으로 변경이 되어야되는 경우가 있겠습니다.
질문에 대한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토큰을 스왑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1. 다른 플랫폼의 토큰으로 종속되어 있던 것을 메인넷을 진행하므로써,
자체적인 블록체인을 가지고 토큰에서 코인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진행됩니다.
2. 혹은 기존의 플랫폼에서 다른 플랫폼으로 옮겨갈 때 스왑을 진행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예로 현재 이용중인 아하도 같은 경우입니다.
아하는 ERC토큰에서 현재는 루니버스 토큰으로 스왑을 진행한 상태입니다.
안녕하세요. 토큰스왑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라고 문의 하셨는데요.
토큰 스왑의 경우 아래와 같은 이유로 발생이 됩니다.
1.대표적인 토큰 스왑의 경우는 메인넷을 진행하여 토큰이 코인으로 전환이 될때 토큰 스왑진행을 합시다. 토큰 스왑을 진행하는 경우는 기존에는 다른 플랫폼에서 디앱형태로 존재하다가 디앱형태에서 플랫폼으로 전환을 하기 때문에 스왑진행을 하는것입니다.
2. 두번째 경우는 플랫폼을 변경할때 토큰 스왑진행을 합니다.대표적인 예가 퀸텀플랫폼 qrc20 기반이었던 토큰들이 erc20플랫폼으로 변경을 하면서 토큰 스왑을 진행한적이 있습니다.메디블록,시펀,잉크등 많은 토큰들이 플랫폼을 변경한적이 있습니다.
3.특이한 경우이긴 하지만 국내에서 코인X거래소등 몇몇거래소에서 거래소 코인의가치를 향상한다는 명목으로 액면병합을 하면서 토큰 스왑을 한 사례도 있습니다.
위에 보이는 이유때문에 프로젝트가 토큰 스왑을 하는 이유입니다.
스왑의 이점은 메인넷을 진행하는 경우 토큰의 가치가 높아질수 있고 다른 디앱들을 만들수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플랫폼 변경의 경우는 침제되어 있는 메인넷에서 활성화된 메인넷으로 전환함으로써 디앱활동을 더 활발히 할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하지만 3번째 경우의 경우 진행된 대부분의 스왑의 경우는 투자자들의 손실을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빨간양말님. 스왑은 대부분 처음부터 생각하고 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암호화폐들은 ERC20 계열의 형태로 시작을 하는 경향이 큽니다. 왜냐하면 ERC20 계열의 암호화폐는 만들기도 쉽고 스마트컨트렉트 기능을 통해 ICO나 IEO를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투자를 빨리 받을 수 있는 것이죠. ICO나 IEO가 진행된 후 투자받은 금액을 통해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스왑을 진행한다던가 ERC20 계열이 아닌 다른 계열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옮길 수도 있죠.
그리고 질문주신 스왑의 후자 경우는 사용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비효율적이라 판단하고 옮기게 되는 경우이거나 사건 사고를 당해 암호화폐에 문제가 생겨 스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