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비율과 준전세비율이라는게 있는데 준전세라는게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건가요?
한국에는 전세와 월세가 있는데요.
그렇다면 일반적진 전세비율이외에 준전세나 반전세이런 비율이나 용어가 있는데 이런 개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준전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를 넘는 경우를 말합니다.
주택 임대차 시장에서는 월세, 준월세, 준전세, 전세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이를통틀어 전월세 시장이라고 부릅니다. 2015년 정부는 월세 비중이 늘어나면서 월세 유형을 세분화하여 통계에 반영하기시작했으며, 보증금이 월세의 12개월치 이하면 월세, 12∼240개월치 수준이면 준월세, 240개월치를넘으면 준전세로 분류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세나 월세와 관련된 질문은 아하의 경제용어라기 보다는 부동산 용어이기 때문에 아하내의 부동산 쪽으로 질의를 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준월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12~240개월 치인 거래를 의미합니다.
그이 반해, 준전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를 초과하는 임대차 계약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준전세 거래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20년)치를 초과하는 형태로, 월세는 적고 보증금이 많은 반전세 거래를 말합니다. 얼마전에는 서울지역에서 전체 월세 거래에서 준전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첫 50%를 넘어서기도 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준전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를 초과하는 거래를 뜻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임대차 계약중에 준전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를 초과하는 거래를 뜻한다.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세 월세 등과 관련된 용어들입니다. 임대차 계약은 대개 전세, 월세, 준월세, 준전세 등 네 가지로 나뉩니다. 월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12개월치 이하인 임대차 거래, 준월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12∼240개월 치인 거래, 준전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를 초과하는 거래를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세는 전세가가 월세의 12~240개월치에 들어가는 거래를 의미하며, 준전세는 240개월치를 초과하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준전세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준전세란 전세금 대비 보증금 비율이 10% 미만이고 그 차이를 월세로 받는 것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