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기계공학

사일러스
사일러스

비행기가 복엽기에서 왜 단엽기로 바뀌었나요?

1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비행기들이 대부분 복엽기였는데,

2차 세계대전 영상을 보면 대부분이 단엽기 비행기가 나오는데,

단엽기가 복엽기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복엽기로 만들어야 했던 시절에는 에어포일이 개발이 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날개의 면적당 양력이 너무 작았기 때문에 복엽으로 만들어야 간신히 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에어포일이 개발된 후, 적은 면적으로도 적절한 양력을 얻을 수 있어,

    무게도 적고 항력도 적은 단엽기가 더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주날개가 상하 둘 이상으로 되어 있는 다엽기(多葉機)에 비해서 공기저항력을 적게 받으므로 운동성이 우수하여 오늘날의 비행기는 모두 단엽기로 되어 있다. 기체(機體)와 주날개와의 연결 위치에 따라 주날개가 기체의 위쪽에 연결된 것을 높은날개[高翼:high wing], 중간에 연결된 것을 중간날개[中翼:middle wing], 밑에 연결된 것을 낮은날개[低翼:low wing]로 분류하며, 주날개가 기체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지주(支柱)에 의해서 기체의 위쪽에 연결된 것을 파라솔식이라 한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속도가 빠르고 가볍습니다. 또한 알루미늄, 크로몰리, 두랄루민과 같은 합금등을 사용하여 더욱 단단하게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