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슬기로운줄나비104
슬기로운줄나비10423.05.03

혈액을 수혈할때 다른 혈액형일 경우 수혈을 하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

흔히 A형이 AA , AO 가 있어서

A형은 A형과 O형한테 수혈받을수 있잖아요?

다른 B형이라던지 다른 혈액형에게 왜 수혈받으면 안되는건지 궁긍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다른사람의 혈액을 공급받지 못하는 원인 항원-항체 반응으로 인해 면역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만약 a형의 사람에게 b 형의 피가 항원으로 인식되기때문에 들어오게된다면, 면역반응이 일어나게됩니다. 또한, o형이 모든 혈액형에게 수혈할 수 있는건 이론에서만 진행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원 항체 반응으로 인해 혈핵응고가 발생하게 됩니다.

    ABO식 혈액형은 가지고 있는 항원에 따라 나눈 것인데 A형은 A항원, B형은 B항원만 갖고 있으며, 두 항원을 모두 갖고 있는 경우는 AB형이고, 두 항원 모두 없는 경우는 O형입니다. 반대로, A형은 B항체, B형은 A항체가 있고, 두 항체를 모두 갖고 있는 경우는 O형이고, 두 항체 모두 없는 경우는 AB형이죠.

    이걸로 정의를 해보면 O형은 모든 항체를 가지고 있어서 A와 B 항원이 들어오면 응고가 되어버립니다. AB형은 항체가 없어 어떤 혈액형이 들어와도 응고가 발생하지 않는 것입니다.


  • 혈액형은 ABO 혈액형과 Rh 혈액형으로 나뉘며, 수혈을 할 때는 이들을 맞추어 수혈하지 않을 경우 심한 용혈수혈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혈액형의 조합에 의해서 혈구가 서로간에 들러붙게 되고 엉기고 굳으면서 모세혈관 등의 작은 혈관들을 막게 되어서 혈류를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다른 혈액형 끼리 만나면 응집현상이 발생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단, O형의 경우 모든 혈액형에 수혈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신의 혈액형과 다른 혈액을 받게 된다면 적혈구가 모여서 혈관을 막아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응집 현상이라고 하는데 발생원인은 혈장에 있는 항체와 적혈구 내부의 항원이 서로 반응하는 것이 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은 ABO 혈액형과 Rh 혈액형으로 나뉘며, 수혈 시 수혈자와 헌혈자의 혈액형이 일치하지 않으면 수혈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ABO 혈액형은 A, B, AB, O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혈액형은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과 항체의 종류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A형 인간의 혈액에는 A형 항원이 존재하고, B형 항체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A형 인간은 B형 혈액을 수혈받을 수 없습니다.

    Rh 혈액형은 Rh 항원의 존재 여부에 따라 Rh+와 Rh-로 나뉘며, Rh+ 인간은 Rh+ 항원을 가지고 있고, Rh- 인간은 Rh+ 항원이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Rh- 인간은 Rh+ 혈액을 수혈받을 경우, 항체가 혈액액형뿐만 아니라 혈액 내 Rh 항원까지 파괴하게 되어,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마다 제각기 다른 혈액형이 있습니다

    혈액형이 다른 이유는 응집소가 다르기 때문이다. 실제로 다른 혈액형을 수혈받으면 혈액이 응고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