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에서 시장가와 지정가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주식에서 매수주문을 하려고 했는데 매수주문을 할 때 지정가라는 것이 있고 시장가라는 것이 있더라고요. 주식을 거의 해본적이 없어서 뭐가 뭔지 잘 모르는 상태인데 이 지정가와 시장가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시장가와 같은 경우에는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으로 매수가 되는 것이며
지정가와 같은 경우에는 자신이 직접 가격을 지정하여 매수하는 것을 말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간단하게 지정가는 내가 원하는 호가를 직접입력하는 방식의 주문이고 시장가는 내가 원하는 호가를 입력할 수 없고
현재 체결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가격에 매수나 매도가 즉시 진행되는 주문방법입니다.
주식시장에 이제 입문하셨다면 시장가 거래 보다는 지정가 매매를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거래에서는 매수주문을 할 때 주로 지정가와 시장가 주문을 사용합니다. 지정가 주문은 투자자가 설정한 특정 가격(지정가)에만 매수 또는 매도 거래가 실행되도록 하는 주문 유형으로, 원하는 가격에 주문이 체결되지 않으면 주문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시장가 주문은 주식시장에서 현재 거래되고 있는 가격으로 매매하는 주문 방식으로, 주문을 넣는 순간에 주문이 바로 매매가 체결되며 특정 가격을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지정가는 리미트라고 쓰여있고 시장가는 마켓이라고 쓰여있습니다, 주가가 왔다갔다 요동을 칠때 내가원하는 가격에 올라왔을때 자동구매하는 것이 지정가입니다. 시장가는 바로 지금입니다
- 시장가 주문: 주문을 넣은 시점에서 가능한 가장 좋은 가격으로 주문이 체결되는 방식입니다. 주문이 즉시 체결되며,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으로 매매가 이루어집니다.
- 지정가 주문: 투자자가 원하는 특정 가격에 매매하거나 매수하는 주문입니다. 주문이 특정 가격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하며, 주문이 체결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할 때 현재 가격으로 매매를 하고 싶으면 시장가를 선택하면 되구요
현재가 외에 본인이 매매하기를 원하는 가격을 지정해 주면 지정가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시장가는 지금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시장에서 순간순간 정해지는 시세를 말합니다. 그래서 시장가로 매도 매수 체결해놓은 그때 이 시세에 맞춰서 거래가 바로 됩니다.
지정가는 내가 팔고 사고 싶은 거래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왠지 지금 1000원인데 1200원까지 갈거 같다하면 1200원에 지정해놓고 매도 주문 해놓습니다. 그러면 이 가격까지 도달하면 팔립니다. 아니면 안팔리구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