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완주군에 월경지가 생기게 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완주군 지도를 보면 이서면이라는 곳은 다른 완주군 지역과 붙어있지 않고 따로 떨어져있는 것 같은데요. 그래서 궁금해진 점인데 이처럼 완주군에 월경지가 생기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이서면이 완주군의 월경지가 된 건 1935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 때문에 발생했습니다
이제 당시 이서면은 전주군 이서면이었는데 전주군이 완주군으로 개편되면서 이서면도 완주군에 속하게 됐어요
근데 1937년에 전주읍이 전주부로 승격되는 과정에서 이서면 일부가 전주부에 편입됐는데 이때 이서면 나머지 지역이 완주군에 그대로 남아있게 됐습니다
행정구역 개편 이후에도 이서면은 완주군에 속한 채로 유지됐고 전주시가 점점 확장되면서 지금처럼 완주군 본토와 분리된 월경지 형태가 만들어졌답니다
그리고 현재는 이서면이 첨단산업단지로 발전하면서 완주군의 중요한 경제거점이 됐네요..완주군에 월경지가 생긴 이유는 행정구역 개편 과정에서 기존 완주군 이서면이 전주시의 행정구역 확장으로 인해 완주군의 본토와 분리되었기 때문입니다.
1980년대 후반, 이서면 인근의 일부 지역(조촌읍, 구이면 일부 등)이 전주시로 편입되면서 이서면이 완주군의 다른 지역과 지리적으로 떨어진 '섬 같은 땅', 즉 월경지가 되었습니다이처럼 월경지는 행정구역 조정이나 신설, 인구 이동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며, 완주군의 경우도 전주시의 확장과 이에 따른 행정경계 변경이 직접적인 원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