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에 상한가가 없다면 어떻게 되나요?
주식은 상한가 하한가가 정해져 관리를 하면서 운영이 되잖아요. 근데 가끔 국내 주식 중 호재가 많았던 주식들이 꽤 있었잖아요.
그런건 며칠 동안 계속 상한가 도달하면서 올랐었는데, 만약 상한가가 없었다면 상한가가 있었을 때 며칠 걸릴거 한번에 올려버릴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성훈 보험전문가입니다.
상한가가 없는데 대형호재시 하루 500%,1000%도 상승 가능합니다.
실제 상/하한가제가 없는 미국증시에서 드물게 1,000%이상 상승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 과도한 주가변동에 따른 투자자 손실 방지와 시장 안정을 위해 하루 주가변동의 상·하한 폭을 정한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가격제한폭이라고 합니다. 한국거래소 2022년 기준 하루에 가능한 주가 상승폭과 하락폭을 각각 30%로 제한하고 있습니다.한국은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급격한 주가변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1965년부터 상·하한가 제도를 도입해 시행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상·하한가 제한을 하지 않아 주가 변동이 매우 심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투자자들이 그만큼 신중하게 대응하기 때문에 대형주 주가는 오히려 안정적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상한가가 없는 경우, 주식의 가격은 이론적으로 무제한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호재가 많은 주식은 가격이 며칠 만에 급격히 오를 수 있지만, 이는 시장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상한가 제도는 시장의 급등락을 방지하고 투자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한가가 없으면 가격이 급등할 때 매도 압력이 발생하고,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으로 인해 리스크가 커질 수 있습니다.
상한가는 이러한 위험을 완화하고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흠..조금 애매한 질문이기는 하네요 ㅎㅎ
우선 상하한가의 경우 미국과 같은 선진금융시스템을 가진 시장의 경우 시행 되고 있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갑작스런 가격 변동으로 인하여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런 장치를 마련했다고 생각 합니다.
이에 이런 장치가 없다면 특정한 이벤트에 의해 시장의 급격한 변동에 따라 상하한가보다 훨씬 더 큰 변동폭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한가가 없다면 하루에 얼마나 오를지 예상하기 힘들긴 할거 같네요 상하한가 제도가 없는 미국시장봐도 호재나옴 100프로이상 오르는 종목도 다수구요 가상화폐시장만 봐도 상한가 하한가 제도가 없으니 빗썸에서 알트코인 펌핑이나 상장시에 하루에 1000프로 오르는 가상화폐들이 종종 나오니 상한가 하한가 제도가 있어서 좋을거도 없지만 하락시에 90프로 하락도 나올수 있으니 꼭 나쁘다고 할수도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만약 주식에 상한가가 없다면 특정 주식에 대한 매수 수요가 급격히 몰릴 경우 가격이 단기간에 크게 오를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에서의 가격 변동성을 크게 증가시켜, 주가가 하루에 여러 배로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극단적인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상한가 제한은 이러한 과도한 변동성을 억제하고, 투자자들이 갑작스러운 가격 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입니다. 따라서 상한가가 없다면 투자 위험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한가 제도가 없다면 특정 호재 등이 하루만에
모두 반영될 수 있는 등 할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의 변동성 자체는 커질 수 있지만 해당 기업의
가치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데 오히려 유리하다는 의견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만약 주식에 상한가가 없다면, 특정 호재로 인해 주식이 급격하게 상승할 경우, 하루 만에 주가가 크게 오를 수 있습니다. 상한가는 주가의 급격한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이를 통해 투자자들이 주식의 급격한 등락에 따른 위험을 줄이고, 보다 안정적인 거래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상한가가 없으면 호재가 있는 주식은 단기간에 큰 폭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이 과열된 투자 분위기에 휩싸여, 주식의 실제 가치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거래될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또한, 반대로 악재가 발생할 경우에도 주가는 큰 폭으로 하락할 수 있어, 투자자들의 손실이 크게 증가할 위험이 있습니다.
결국, 상한가가 없으면 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증가하게 되며, 이는 일부 투자자들에게 기회가 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투자자들에게는 높은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상한가와 하한가 제도는 주식 시장의 안정성과 공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그럴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상한가가 없으면 하한가에 대한 제한도 풀게 될테니 반대의 상황들도 생길 것이고 그럼 엄청난 혼란이 찾아 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주식에 상한가가 없다면 호재가 있을 때 주가가 한 번에 급등할 수 있습니다.
상한가는 주가가 하루에 오를 수 있는 최대 폭을 제한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투자자들을 과도한 투기적 행위로부터 보호하고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상한가가 없다면, 투자자들의 기대감이나 공포심리가 극대화되어 주가가 급격하게 변동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에 엄청난 호재가 발생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상한가가 있다면 주가는 며칠에 걸쳐 상한가를 기록하며 점진적으로 상승하겠지만, 상한가가 없다면 투자자들의 흥분으로 인해 주가가 단숨에 몇 배, 몇십 배까지 폭등할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악재가 발생했을 때도 마찬가지로 급락할 수 있겠죠.
따라서 상한가가 없는 시장은 변동성이 매우 커질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큰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큰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처럼 상한가가 없는 시장에 투자할 때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에 상한가가 없다면 어떻게 되는 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주식에 상한가가 없다면 매우 높게 올라갈 수도 있을 것입니다.
문제는 상한가가 없으면 하한가도 없을 가능성이 높고
그렇게 되면 엄청난 변동성이 생길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