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아주귀여운미냥
아주귀여운미냥23.02.10

우박은 어떻게 발생하는건가요?

우박같은 딱딱하고 차가운 물체가 대기 중에서 발생해서 내린다는게 이해가 안가는데 어떤 원리로 발생해서 내리는 건가요?? 눈과 비슷한 원리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온도가 낮은 상공에서 이 빗방울이 급격히 얼게될 때가 있는데, 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우박이 어느정도 크기를 가지고 떨어져야하는데, 강한 상승기류를 만나게 되면 떨어지다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주변 수증기를 머금어 크기가 더 커지게 됩니다. 이를 반복하다 더이상은 상승기류가 우박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할 때 떨어지게 되는 것이죠. 즉, 상승기류의 세기와 수증기량이 우박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0

    하늘에서 형성된 구름에 매우차가운 영하 30도이하의 한랭기단을 만나게되면 미세물방울들이 얼게되고 이얼음 알갱이들이 뭉쳐 커지게되면 중력을 이기지 못해 아래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것이 우박입니다. 비나 눈의 형성원리와 같습니다.


  • 우박은 대기 상층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바로 아래에 있는 가운데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할 때 생깁니다.

    상승한 공기가 주변의 공기보다 따뜻하여 부력을 받아 더 높은곳으로 상승하게 되어

    구름 속의 얼음 입자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물방울이 계속 얼음에 달라 붙어 점점 커지게 되어 결국 우박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눈의 경우는 온도가 낮아야 내리지만 우박은 따뜻한 경우에도 내리므로 원리가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