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서 현재의 산소가 생긴 시점과 어떻게 현재의 농도량으로 유지하게 된건가요?
지구에서 처음부터 산소가 생기지는 않았을텐데 언제 산소가 생기게된것인지 궁금하여 현재의 21%수준의 농도량이 유지하게 된 배경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지구에서의 산소는 약 24억 년 전 남세균(시안박테리아)이 광합성을 통해 생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산소가
바다 속 철과 결합해 산화철을 만들며 대기 중에 축적되지 않았습니다. 철이 포화된 후 대기 중에 산소가 점차 축적되어
'대산소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후 생물 진화와 광합성 생물의 증가로 산소 농도가 계속 상승했고 현재는 광합성과
호흡, 분해 등 생물학적 과정들이 균형을 이루어 약 21%의 산소 농도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지구 대기의 산소는 처음부터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약 35억 년 전부터 시아노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이 광합성을 시작하면서 생성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대산소화 에피소드'라는 시기를 거치며 대기 중 산소 농도가 크게 증가하여 영구적으로 자리 잡게 되었죠. 현재 약 21% 수준의 산소 농도가 유지되는 것은 식물과 미생물의 광합성으로 산소가 계속 생산되고, 동시에 생명체의 호흡이나 유기물 분해 등으로 소비되는 과정이 균형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또한, 분해되지 않고 땅속에 묻히는 유기물도 산소 농도를 높게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답니다. 이렇게 지구 시스템의 복잡한 상호작용 덕분에 현재의 산소 농도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산소는 약 35억년 전 바다속에서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 지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대기 중 산소가 늘어나기 시작하는 시점은 약 24억년 전이며 이 시기부터 영구적으로 존재했습니다.
현재의 21%수준은 약 4억년 전과 비슷한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주로 광합성 생물과 동물 및 미생물의 호흡, 대륙 이동, 식의 육상 진출로 인해 산소 농도가 유지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