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별똥별은 떨어질 때 왜 불이 붙은 듯한 모습인가요?

별똥별이 떨어질 때보면

마치 운석이 빠르게 날아가는 것이라기 보단

운석에 불이 붙은 듯한 모습처럼 날아가는데

별똥별이 떨어질 때

순간적인 찰나에도 불이 붙은 듯이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별똥별은 혜성, 소행성에서 떨어져 나오는 먼지 등이 지구 중력에 의해 대기 안으로 들어오면서

      지구에 있는 대기권의 공기에 의한 마찰로 불타는 현상입니다.

      즉 공기가 너무 세게부딪혀서 열을 받아 불에 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별똥별은 암석또는 얼음으로 구성되어있어, 지구 대기를 지나면서 엄청난 마찰열과함께 연소됩니다.

      실제로 불이붙어서 타고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운석은 매우 빠른 속도로 불에 탑니다.

      운석 전면부 공기는 온도가 매우 빠른 속도로 올라갑니다.

      운석이 불타는 원리는 마찰이 아닙니다. 운석이 불타는 이유는 단열 압축에 의한 것입니다. 운석은 마찰로 인해 타는 것이라면 운석 측면의 온도도 높아야 합니다.

      하지만 운석은 전면부만 온도가 높습니다. 운석은 전면부만 온도가 높은 것과 비슷한 원리는 우주선입니다. 우주선은 우주에서 대기권으로 돌입할 때 전면부의 온도만 높아집니다. 운석은 남극에 많은 양이 있습니다.

      운석은 과거 빙하 속에 묻혀서 남극에 많이 있습니다.

      운석은 남극에만 집중적으로 떨어진 것이 아닙니다. 운석은 남극의 기후적 특성과 지리적 특성 때문에 잘 보존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