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제대학교가 파산한 이유가 뭐죠?
한국국제대학교가 파산한다는데 정확한 원인이 뭘까요? 다니고 있는 학생들은 어떻게 되는지도 궁금하고. 왜 그렇게 되도록 사전에 대처를 하지 읺았는지 궁금해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파산이 선고된 학교는
100억 원대 임금체불과 빚더미의 학교를 어떻게 처분할지도 문제라고 합니다.
경영상의 어려움은
인구 감소와 경쟁력 약화로 이어졌습니다.이러한 지방대 폐교가 더 이어질 위기 속에서 국제대 처분 사례가 다른 대학들의 선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재력있던 재단이 여러 사정으로 2013년 말많은 기존 재단이 돌아오며 어느 정도 예측은 된 상황으로 이런 상황에 대해 내부 노조에서는 반발을 했었고, 정부의 대학평가측면에서 2011년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에 선정,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두번이나 걸려 큰 타격을 입었으며, 2018년 7월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최악의 평가를 받자 총장이 사퇴하고 총장과 이사장이 부재했습니다.
2018년 평가로 인해 35% 정원감축 압력을 받아 위기가 심화, 교직원 급여는 밀리고 학내에서는 재단의 퇴진을 요구하고 관선이사 파견과 공영형 사립대학을 주장했으며 2020년 이사회 회의록을 보면 대학재정부족으로 법인 재산이 경매로 넘어가거나 교직원들에 대한 직권면직까지 거론됩니다.
이에 상당수 교원과 직원들이 사표를 제출, 급여삭감, 무급휴직까지 거론될 정도였습니다.
2023년 현재 신입생 출원율이 2년째 10%도 되지 않고 학교 건물이 단전, 단수되어 정상적인 강의도 이루어지지 않으며 대학의 등록금 계좌도 압류되며 체육특기자로 입학한 학생들은 3학년이 되면 경남대학교로 편입,
5월 3일 창원지방법원에 학교법인을 상대로 파산신청, 7월 폐교 수순을 밟습니다.
7월 13일 폐교 확정, 현재 재학중인 1~3학년은 주변의 대학으로 특별편입이 진행될 예정이며 4학년이 졸업 후인 2024년 2월 28일 끝으로 폐교 예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 국제대는 부실 경영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사장이 미납된 공과금과 체불 임금이 100억원을 넘어서는 등 재정난이 장기화하자 최근 법원에 파산 신청을 했다고 합니다. 1978년 진주여자전문학교로 개교한 한국국제대는 이후 성장을 거듭하며 2003년 입학정원 1265명의 4년제 대학으로 출범했던 학교 입니다. 불과 20년 만에 폐교를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