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

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황사의 지옥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

한국 몽고 중국 이렇게 셋이서 사막화된 지역을 녹지대로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온 것으로 알고있는데요.

그럼에도 사막화를 막지 못한건 왜인지 그리고 황사가 영향을 끼치는 것은 어디까지 인지 알고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멋쟁이야나는
    멋쟁이야나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기후 변화와 자연적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칩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 강수량이 감소하고 건조한 기후가 지속되면서 토양의 건조화와 풍화가 심화되어 사막이 확대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또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영향도 큽니다. 과다한 목축, 산림 파괴, 농업 확장 등이 토양 침식을 가속화시키고 사막을 확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한국, 몽고,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은 사막화 방지와 녹지대 확장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이 지역에서 사막화는 주로 과도한 목축, 무분별한 농지 확장, 지속적인 자원 고갈,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사막화 방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진행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막화 방지의 어려움

    1. 기후 변화: 지구 온난화와 극단적 기후 현상의 증가는 사막화를 가속화시킵니다. 강수량의 감소와 증발 증가로 인해 건조한 지역이 확장되고 있습니다.

    2. 과도한 토지 이용: 토지의 과도한 개발과 농업, 과잉 방목 등으로 인한 식생 파괴와 토양의 열화도 사막화의 주요 원인입니다. 이러한 활동은 토양의 수분 보유 능력을 감소시키고, 토양 침식을 촉진합니다.

    3. 지속 가능하지 않은 물 관리: 적절하지 않은 물 관리와 물 부족 현상은 사막화를 가속화하는 또 다른 요소입니다. 물 부족은 식물의 성장을 제한하고, 토지의 건조화를 촉진합니다.

    4. 사회경제적 요인: 인구 증가와 경제 발전으로 인한 지속적인 자원 수요는 토지와 물 자원에 대한 압력을 증가시키며, 이는 사막화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황사의 영향 범위

    황사는 주로 중국 북부와 몽골의 사막 및 반사막 지역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토양 입자가 고공으로 솟아올라 바람에 의해 멀리까지 운반되는 현상입니다. 이 입자들은 한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전역에 영향을 미칩니다.

    1. 건강 문제: 황사는 호흡기 문제, 피부 질환, 알레르기 반응 등 건강상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 물질이 황사와 함께 대기 중으로 퍼져 인간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2. 농업에 대한 영향: 황사는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토양의 질을 저하시키며, 농업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3. 환경 문제: 황사는 물과 공기의 질을 저하시키고, 생태계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시거리 감소로 인한 교통 사고 위험 증가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사막화 방지와 황사 문제 대응을 위해서는 국제적 협력과 지속 가능한 토지 관리 전략, 기후 변화 대응 노력이 필요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환경 보호와 자원 관리 정책의 강화가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황사현상은 매년 봄에 자주 발생합니다. 이러한 황사현상이 봄에 생기는 이유는 황사의 발원지가 되는 몽골의 고비사막이나 중국의 사막지대와 내몽골 지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지역의 겨울철 강수량이 부족하고 봄이 매우 건조하며, 때때로 이상건조가 되어 약간만 바람이 불어도 실트 입자가 쉽게 날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8.5만㎢ 사막화 현황 및 영향이 있어요

    지역: 한국, 중국, 몽골 국경 지대

    규모: 8.5만㎢ (대한민국 면적의 약 2배)

    영향: 황사 발생 주요 원인, 지역 환경 악화, 경제적 손실



    삼국 협력 노력 및 어려움이 있습니다

    주요 노력입니다



    조림: 나무 심기

    방목 관리: 가축 방목 제한

    사막화 방지 벨트 조성: 나무와 초본 식물로 녹지 조성

    국제 협력: 기술 및 자금 지원





    주요 어려움이예요


    넓은 면적: 효과적인 방지 활동에 많은 시간, 노력, 비용 필요

    기후 변화: 가뭄, 폭염 등 기후 변화로 인해 사막화 악화

    경제적 어려움: 지속적인 방지 활동에 필요한 자금 확보 어려움

    국제 협력의 한계: 각국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협력 수준 변동



    주요 사례 및 현황입니다.



    중국: "세 농림 방호선" 조성 (약 4,480km)

    성과: 일부 지역 사막화 방지, 황사 발생 감소

    문제점: 넓은 지역 대비 방지선 규모 부족, 자금 부족

    몽골: "국가 녹화 프로그램" 추진 (약 100만㎢)

    성과: 숲 면적 증가, 토양 침식 감소

    문제점: 기후 변화 영향, 가뭄으로 인한 나무 죽음 증가

    한국: "한반도 녹색벨트 조성 사업" 추진 (약 100km)

    성과: 황사 차단 효과, 생태 환경 개선

    문제점: 사업 규모 확대 필요, 지속적인 관리 필요

    지속적인 노력 필요:

    국제 협력 강화

    기술 개발 및 투자 확대

    지역 주민 참여 확대

    기후 변화 대응:

    가뭄, 폭염 등 기후 변화 영향 고려한 방지 전략 수립

    적응력 강한 식물 개발





    사막화 방지 효과 측정 및 평가:

    과학적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 및 개선

    효과적인 방지 활동 추진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