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듣기로만알고있는 만유인력의법칙은 어떤내용인지 궁금합니다.
평소듣기로만 알고있고 잘설명은 못하겠는데 만유인력의법칙은 어떤내용인지가 궁금합니다. 혹시나 아시는분 계시면 답변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뉴턴은 사과가 아래로 떨어지게 만드는 힘, 즉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사과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고, 중력은 우주에 있는 모든 물체 사이에 존재하는 힘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중력이란 지구의 지표면에 있는 물체를 지구가 지구 중심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말합니다. 이것이 만유인력의 법칙입니다. 만유인력은 뉴턴이 처음으로 이야기한 것으로 질량을 가지고 있는 물체들이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지구랑 사과의 사이에 인력이 있고, 지구가 사과를 끌어당기는 힘과 사과가 지구를 끌어당기는 힘의 크기는 같은데, 왜 지구는 움직이지 않고, 사과가 지상으로 떨어질까요? 물체는 제자리에 있으려고 하는 성질이 있는데 이것을 ‘관성’이라고 하며 관성은 질량이 크면 커집니다. 그런데 지구의 질량이 사과의 질량보다 매우 커서 관성의 힘이 지구가 휠씬 큽니다. 그러므로 똑같은 힘이 가해졌을 때 관성이 작은 사과가 움직이여서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입니다.
출처: 교육부 공식 블로그:티스토리 - 뉴턴의 사과는 정말 존재하는 것일까?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만유인력의 법칙은 아이작 뉴턴이 1687년 발표한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에 처음으로 소개된 물리학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우주에 있는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 사이에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한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만유인력의 법칙에 따르면, 두 물체 사이의 인력은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두 물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두 물체의 질량이 클수록, 두 물체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인력은 더 커집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중력을 “지구 위의 물체가 지구로부터 받는 힘, 지구 위의 물체에 작용하는 만유인력과 지구 자전(自轉)에 의한 구심력을 합한 인력”이라고 되어 있지만, 물리학에서 중력(gravity)이라고 하면 대개 질량이 있는 물체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뜻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지구 자전 효과 등은 고려하지 않고, 순전히 질량에 의한 힘만을 생각하기로 한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만유인력의 법칙은 두 물체 사이의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두 물체의 질량을 각각 M, m이고 두 물체 사이의 거리를 r이라면 만유인력은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F=GmM/r 2 여기서 G가 만유인력상수입니다. 쉽게 말해 두 물체 상호 간에 작용하는 중력을 표현하기 위한 법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만유인력의 법칙은 물체들 사이에 작용하는 모든 힘을 설명하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뉴턴의 법칙 중 하나로 물체들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을 설명하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모든 물체들이 서로에게서 인력을 받는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이는 물체들 사이의 거리와 질량에 따라서 인력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유인력의 법칙은 우주의 운동을 설명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태양계의 행성들이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것도 만유인력의 법칙에 의해 설명됩니다. 태양과 행성들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이 서로에게서 인력을 받는 것이죠.
그리고 만유인력의 법칙은 우리 일상 생활에서도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물체를 들어올리는 것도 만유인력의 법칙에 의해 설명됩니다. 우리가 물체를 들어올릴 때 우리의 손에 작용하는 중력보다 물체의 질량에 의해 작용하는 중력이 더 크기 때문에 물체가 들어올라가는 것이죠.
만유인력의 법칙은 우리가 우주를 탐험하고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주에서는 중력이 다른 힘들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주 비행선이나 인공위성을 운영하는 데에도 만유인력의 법칙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법칙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과학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