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복매독인가요?(검사지 있어요)
증상은 없었고 보건소에서 성병검사 했는데
매독반응검사: 음성
TPHA :양성
결과가 나와 큰병원으로 다시 재검사 받았습니다.
결과는 비슷하게 나왔습니다.
검사지를 보고 자세히 설명 듣지 못하고 전에 치료한적도 없어
페니실린 주사 3회 처방 받았아요.
선생님이 정확하게 말씀을 안해주셔서 여기저기 찾아보다
잠복매독일 경우가 있다고해서요
잠복매독일경우 이런수치가 나오나요?
혹시 신경매독일경우에도 이런 수치가 나오는지?..
제가 언제 감염됬는지도 모르고 치료시기가 늦어진건 아닌가 걱정되어 물어봅니다..
대략
매독반응검사 음성
TPHA 양성
TU 29.4
FTA-ABS lgG
양성FTA-ABS lgM 음성
추가로 인터넷 찾아보니 예전 치료된 매독경우 저랑 비슷하게 수치가 나왔지만 FTA-ABS lgG
약양성 인경우더라고요 (전 FTA-ABS lgG 양성 ) 그럼 전 저도 모르게 치료된 매독은 아니겠죠?..)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매독항체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경우로 보여지며, 과거에 매독 감염 가능성이 있을 확률을 나타나는 검사 결과 중 하나입니다. 아울러 FTA-ABS lgG 양성의 검사 결과도 잠복 매독일 가능성을 시사하는 소견일 수 있으며 비록 증상이 없다고 하더라도 추후 신경매독의 발병 가능성이 있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
특히 FTA-ABS lgG가 양성인 경우 신경절에 매독균이 잠복해 있을 가능성이 있어서 추가적인 척수액 검사를 통해서 확인이 필요할 수 있으며, 초치료로 보통은 페니실린 계열 약제를 사용하면서 완치를 목표로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기 때문에 너무 치료시기가 늦어졌다고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FTA-ABS lgG가 양성인 경우에는 완전히 치료가 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추후 매독의 치료 여부 등을 확인하면서 신경매독 검사를 추가로 진행할지는 진료를 보셨던 병원에서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질문자님의 쾌유를 진심으로 기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말씀하신 내용 위주로만 우선적으로 답변 드릴게요
TPHA 양성과 FTA-ABS lgG 양성은 과거 매독에 감염된 적이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입니다. TPHA (Treponema pallidum hemagglutination assay)는 매독균에 대한 항체를 검출하는 검사로, 이 검사가 양성이라면 과거에 매독균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높아요. FTA-ABS lgG 양성은 과거 감염을 의미하죠. 일반적으로 FTA-ABS lgG는 매독에 대한 과거 감염을 나타내고, FTA-ABS lgM 음성은 현재 활성 감염이 없다는 것을 뜻합니다. 즉, 현재 활성 매독이 아니고, 잠복기나 과거 감염일 가능성이 큽니다. 잠복매독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혈액 내에 매독균이 존재하는 상태를 말해요
이와 같은 결과에서는 치료가 지체된 것이 아니라 과거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신경매독은 매독이 신경계로 전파되어 발생하는 형태인데, 이 경우 검사에서 다른 추가적인 검사(뇌척수액 검사)가 필요합니다. 신경매독에서 TPHA와 FTA-ABS의 결과는 그리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신경매독을 의심하는 경우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과거 매독 감염 가능성이 높고 현재 활성 감염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치료 시기가 늦어졌다고 할 수는 없으며, 페니실린 주사를 통한 치료는 적절한 치료 방법입니다. 잠복매독의 경우, 증상이 없더라도 치료가 필요하고, 치료 후에도 후속 검사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인 궁금증이나 걱정이 있으시면 담당 의사와 다시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아요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