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클볼은 왜 불규칙하게 움직이나요?
너클볼은 회전이 없는 변화구로 알고있습니다.
그렇다고 왜 직구, 슬라이더와 같은 변화구 대비 많은 움직임을 보일까요?
느러서 그렇다기엔 고속 너클볼을 던졌던 RA디키도 엄청난 무브먼트를 보이던데...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과학적으로 설명 부탁드립니다.
보통 공을 던지면 공이 회전을 하면서 포수의 미트에 들어가게 됩니다. 공이 회전을 하다 보니 어느 정도 공의 궤적을 알 수가 있게 됩니다. 그러나 너클볼은 공이 거의 회전을 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의 저항을 받아 공의 움직임을 예측하기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너클볼은 회전이 거의 없기 때문에 회전에 의한 공의 변화는 없습니다.
그러나 지구상의 대기는 공기의 흐름이라는 게 있죠.
그 흐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공이 흔들리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또 예상할 수 없기에 투수도 포수도 타자도 공이 마지막에 어떻게 변할지를 모릅니다.
포수의 경우 아예 너클볼을 받기 위해 다른 미트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너클볼의 다양한 움직임은 공기 흐름과 압력, 그리고 공의 표면 텍스처와 같은 요소들이 결합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공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달를수 있어요
공을 잡는 손가락의 모양에 따라 공의 움직임이 변하게 되는게 원리입니다.
너클볼의 경우 손가락을 바싹 세워 손톱이 닿이게끔 치켜들어 공을 잡고 던지고
회전이 거의 없어 공이 영향을 많이 받아 궤적을 알기 어려워 포수도 포구하기 어렵고 타자도 치기 어려운 구종입니다.
실밥을 잡는 위치에 따라 다른 회전수를 보입니다. 특히 너클볼의 경우 던진 투수도 결과를 알 수 없다고 해요. 예전에 보스턴의 투수가 너클볼의 귀재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