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냉철한라마35
냉철한라마35

변광성이 변광주기가 클수록 그 별의 밝기는 높다고 하는데요.

변광성이 변광주기가 클수록 그 별의 밝기는 높다고 하는데요. 기본적으로 빛의 밝기가 변하고 잇는데 어느 지점을 기준으로 별의 밝기가 어느 정도다를 판단할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변광성은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별입니다.

      흥미롭게도 변광 주기가 길수록 별의 밝기가

      높다는 경향이 존재합니다.

      이는 모든 변광성에 적용되는 법칙은 아니며 정확한

      밝기 판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겉보기 등급은 지구에서 관측되는 별의 밝기입니다.

      절대 등급은 기준 거리(10파섹)에서 관측했을 때 별의 밝기입니다.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의 차이는 거리 지수로 계산됩니다.

      변광 주기는 밝기가 변하는 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맥동 변광성은 별의 팽창과 수축으로

      인해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입니다.

      세페이드 변광성은 맥동 변광성의 대표적인 예이며 변광 주기

      와 절대 등급 사이에 정확한 관계가 존재합니다.

      세페이드 변광성의 변광 주기를 측정하여 절대 등급을 계

      산할 수 있습니다.

      거리 지수를 이용하여 겉보기 등급으로부터 별의 거리를 계산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변광 주기가 긴 세페이드 변광성이 더 밝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모든 변광성이 맥동 변광성은 아니며 변광 주기와 밝기 사이에

      정확한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변광성도 있습니다.

      변광성의 밝기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변광 주기뿐만

      아니라 변광성의 종류 거리 겉보기 등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변광성의 밝기 판단은 천문학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변광성의 밝기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별의 거리 질량 밝기

      등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우주의 구조와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변광성이란 별의 밝기가 변하는 정도를 말합니다. 이는 별의 표면 온도나 크기 질량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변광성이 클수록 별의 밝기 변화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변광주기가 클수록 그 별의 밝기는 높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별의 밝기를 판단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별의 절대등급이나 표면 온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절대등급은 별의 실제 밝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표면 온도는 별의 색깔과 밝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변광성이 큰 별일수록 절대등급이 높거나 표면 온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변광성이 큰 별은 주기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주기적인 변화를 관측하여 변광주기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변광주기가 클수록 밝기 변화의 주기가 짧아지므로 이를 기준으로 별의 밝기를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변광성이 큰 별은 주변의 다른 별들과 비교하여 밝기를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주변의 별들과 비교하여 밝기가 더 높은 경우 변광성이 큰 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변광성의 밝기 변화는 맥동, 식, 자기장 활동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맥동 변광성은 별의 팽창과 수축으로 인해 밝기가 변하는데, 변광 주기가 길수록 맥동의 진폭이 크고 밝기 변화 범위도 커집니다. 식 변광성은 두 별이 서로를 가리면서 밝기가 변하는데, 식의 정도에 따라 밝기 변화 범위가 달라집니다. 자기장 활동 변광성은 별의 자기장 활동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데, 자기장 활동의 강도에 따라 밝기 변화 범위가 달라집니다. 따라서 변광성의 밝기 변화 범위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변광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맥동 변광성의 경우, 변광 주기와 밝기 변화 범위를 측정하여 별의 맥동 모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별의 밀도, 온도, 질량 등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식 변광성의 경우, 식의 정도를 분석하여 별의 크기, 질량, 밀도 등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자기장 활동 변광성의 경우, 자기장 활동의 강도를 분석하여 별의 자기장 구조, 활동 주기 등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