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비둘기
비둘기

식인행위로 인간에게 쿠루병이라는 병이 생긴다는데 다른동물들도 동족을 잡아먹으면 특정질병이 발생하나요?

최근에 식인종에 대한 영상을 보다보니 식인행위로 인해서 식인종들에게 쿠루병이라는 질병이 돌았다는 사실을 보았습니다. 같은 동족의 사체를 먹는 행위로 인해서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나는 질병이라하는데 식인행위가 사라지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졌다들었습니다.


여기서 궁금증이 생기는것이. 동물들 중에서 동족을 먹는 행위를 해는 동물들이 의외로 많다고 들었는데 그 동물들도 동족포식행위로 인하여 특정질병에 걸리게 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동물들이 동족을 잡아먹는 행위 자체로 인해 특정 질병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동물들 사이에서는 종속적인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물들 사이에서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이 전파될 수 있으며, 이는 종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쿠루병은 프리온이라는 비생물적인 단백질이 원인인 신경계 질환으로, 인간에게 특히 희귀한 질병입니다. 이러한 질병은 인간 사이에서도 사람 간 감염이 아닌 동물에서 인간으로의 동물간 감염이 발생하는 '동물간 감염질병'으로 분류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동족 포식 행위가 문제가 되는 것은 동족을 먹었을 때만 발병하는 특정 병들 때문입니다. 이 병들의 원인이 되는 균들이 동족포식이라는 행위를 통해 전파되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동족을 잡아먹는 동물들은 동족포식으로 인해 특정 질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동족포식은 동물들이 영양 부족, 환경 변화, 질병 등의 이유로 발생합니다. 동족포식으로 인해 동물들은 질병에 걸릴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죽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