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정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우리나라 내수 시장 내수 경제가 많이 어렵다고 하던데요 이런 경우는 어떤 정책이 필요한 것일까요

우리나라 내수 시장 내수 경제가 많이 어렵다고 하던데요 이런 경우는 어떤 정책이 필요한 것일까요, 개인들의 힘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정부가 나설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형진 경제전문가
    박형진 경제전문가
    충북대학교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내수 경기가 안좋아 자영업자도 많이 폐업하고 폐업률도 사상 최대를 갱신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높은 물가 때문에 소비도 많이 줄고 있지요.

    최근 전국민 25만원지원이 검토 된적이 있습니다. 내수경기 활성화를 위해 돈을 사용하게 하기 위한 정부의

    개입이었죠.

    또한 지자체 별로 지역화폐를 판매하여 내수 경기를 이끌려고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개입이 필요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내수 경기를 살리기 위하여는

    아무래도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여야 하기에

    금리인하 등이나 소비세 등의 인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 촉진을 위한 정책이 중요합니다. 정부는 소비세 인하, 소득세 환급, 또는 소비 쿠폰 발행 등을 통해 가계의 소비 여력을 높일 수 있으며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를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저금리 대출, 세금 감면, 그리고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일자리 창출을 도울 수 있습니다.

    또 디지털 경제와 온라인 쇼핑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도 중요합니다. 중소기업이 온라인 플랫폼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디지털 마케팅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내수경제가 어려울 때는 돈을 푸는 유동성 공급 정책이 효과적입니다

    •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도 인하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도 기조 자체를 금리인하쪽으로 몰고갈 필요가 있습니다

    • 이렇게하여 내수에서 조금 더 소비하고 투자할 수 있게 유도를 해야합니다.

    감사합니다.

  • 내수시장이 부진한 경우 필요한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소비 활성화 정책: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해 소득공제 확대, 신용카드 사용액 증가분에 대한 추가 소득공제, 개별소비세 인하, 승용차 구매 시 세제 혜택 제공 등의 정책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사랑상품권과 온누리상품권 등을 할인 판매하여 소비를 유도하고, 소상공인 지원 정책을 강화하여 자영업자들의 경영난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2. 투자 활성화 정책: 기업들의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들의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산업단지 등을 조성하여 기업들이 투자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3. 수출 지원 정책: 수출 기업들에게 자금을 지원하고, 해외 마케팅을 지원하는 등의 정책을 통해 수출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여 관세를 인하하고, 수출 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4. 일자리 창출 정책: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업들의 채용을 지원하고, 직업 훈련을 제공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청년들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 일자리 창출 지원금을 제공하고, 청년 창업 지원 정책을 강화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내수 시장이 어려운 것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내수 시장이 둔화되는 것은 서민들이 돈이 없기 때문으로

    정부에서는 지역화폐를 사용해서 내수에 돈이 돌게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내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개인들의 소비 여건 개선 및 활성화 지원, 그리고 기업의 투자 의욕 고취 방안 마련, 주택시장 정상화, 리스크 관리 강화 등이 있을텐데요. 세부적으로는 비정규직 처우 개선, 청년·여성 일자리 창출, 상생적 노사관계 구축, 자영업 경쟁력 강화, 서민생활 안정 등이 있겠습니다. 또한, 정부의 공공부문 개혁, 규제 개혁, 유망 서비스업 육성, 창조 경제 구현, 경제 민주화 추진, 해외 진출 방안 등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선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고 또한 세수 체계를 개편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