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기운찬갈매기134
기운찬갈매기134

선천성 거대 결장이란 어떤 질환인가요?

임신을 해도 걱정이 많은 세상인데요.

선천성 거대 결장이란 신생아에게 나타나는 질환이라고 하는데

선천성거대 결장이 생기는 원인과 증상은 어떤게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지적인꿩82
      지적인꿩82

      안녕하세요. 지적인꿩82입니다.


      장의 운동을 담당하는 장관신경절세포와 관련된 질환이다. 장관신경절세포는 태아 시기에 입에서 시작하여 항문으로 이동을 하지만, 어떠한 이유로 멈추어서면 그 아래쪽 장에는 신경절세포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신경절세포는 장의 이완과 관련된 운동을 하는데, 앞쪽 장이 수축할 때 뒤쪽 장이 이완되어야 음식물이 내려갈 수 있다. 신경절세포가 없는 장에서 음식물은 그 이하로 내려갈 수 없고, 결국 배가 불러오고 구토를 하며 장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게 된다.


      과거에는 결장(대장, 큰창자)에 발생한다 하여 ‘선천성 거대결장증’이라고 불렀으나, 결장에만 국한된 병이 아니라 세포의 이동이 멈추는 곳이라면 어느 곳이든 발생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는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4,000~5,000명 출생에 1명 발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1년에 약 100여 명 정도 발생한다. 선천적으로 발생하고 대부분 출생 직후 48시간 이내 태변배출이 되지 않으면서 의심하게 된다. 무신경절이 매우 짧은 경우 2~3세가 되어야 증상이 나타나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