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님이 퇴직 3년 정도 남으셨는데 퇴직금계좌 디폴트 옵션 선택종목 궁금합니다.
어머님이 퇴직을 약 3년 정도 남기셨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DC형 계좌로 디폴트 옵션이 정해진다며 종목을 선택하라고
저에게 회사에서 정해준 종목들을 보여주셨는데 대부분 펀드 상품들이더라고요. 위험성에 따라서 선택하는 것이던데
그냥 두는 것이 낳을까요 아니면 저위험으로 선택하는 것이 낳을까요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모님께서 주식 등의 상품에 대하여 잘 아신다면
펀드 등으로 투자를 하라고 권유드리지만
아무래도 리스크 감수 위험이 없으시다면 저위험으로
선택하여 예금 상품으로 운용하시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디폴트 옵션은 반드시 조치를 해 두셔야 손익 면에서나 과태료 등 문제가 없게됩니다.
그리고 디폴트 옵션은 위험정도에 따라 5개 군으로 나누어시는데, 복잡하시면 우선 원리금 보장형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나중에 개인적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디폴트 옵션 상품)
1. 타겟데이트펀드(TDF)
투자 목표시점을 정해두고 시간이 지날수록 위험도 낮은 자산비중을 늘리는 펀드
2. 밸런스펀드
투자위험도가 다른 자산들에 분산투자하고 주기적으로 자산배분 변경.
3. 단기금융펀드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해 안정적인 수익 추구
4. 사회간접자본펀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사회기반시설에 투자
5. 원리금보장형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퇴직이 얼마 안남으셨으면 퇴직연금도 곧 수령하실나이이신거 같은데 저위헝이 난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홍나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디폴트옵션의 허용범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TDF : 은퇴연령 등 투자목표 시점에 따라 위험자산 편입 비중을 자동으로 조정
- 장기가치상승 추구펀드 : 분산투자와 주기적 자산배분을 통해 장기수익 추구
- MMF : 안전한 단기금융상품(RF 등)이나 국채 등에 투자하여 안정성을 추구
- 인프라 펀드 : 국가 정책 등에 따른 사회기반시설사업에 투자
답변이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