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외로운사슴벌레25
외로운사슴벌레25

수소 자동차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수소가 물맞죠???

어떻게 물만으로 자동차가 움직일수 있나요???

단순한 물이 아닌지 궁금하네요....

일반 자동차에 비해 장단점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소가 연료전지에 공급되면, 전자와 수소이온으로 분리됩니다.
      이때 발생한 전자들이 연료전지의 양극(+)에는 산소로, 음극(-)에는 수소로 생성되는데요.
      이로 인해 차를 움직일 수 있는 전기가 발생하고, 이 전기로 차가 동력을 얻게 되는 원리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소전기차는 수소를 대기중산소와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고 이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자동차입니다. 배출되는것은 물 입니다.

      수소는 물을 전기 분해하면 만들수 있습니다. 하여 배출되는 물을 다시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이수소가 다시 산소와 반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순환구조를 상용화하여 자동차에 부착할수만 있다면 물로 연료가 되는 자동차가 가능하리라 봅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소와 물은 아쉽지만 다릅니다..

      물은 H2O로, 수소와 산소의 결합입니다...


      수소자동차는 수소(H2)를 충전하여, 전력을 발전시킵니다.

      발전된 전력으로 자동차를 구동하는겁니다~!

      발전된 전력량 W = P(파워) * t(시간) = V(전압)*I(전류)*t(시간)

      그 전기에너지(파워) 가 구동파워(T(토크)*w(각가속도))로 변환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수소자동차는 수소기체를 충전해서 들고다니면서

      수소기체와 공기중의 산소기체를 촉매반응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며 부산물로 물이 나오게됩니다.

      여기서 발생한 전기를 통해 자동차를 움직이게 합니다.

    • 수소 자동차는 수소를 바탕으로 연료 전지를 만듭니다.

      수소가 연료 전지에 공급되면, 전자와 수소이온으로 분리되고,

      이때 발생한 전자들이 연료전지의 양극에는 산소가 생성되고, 음극에는 수소가 생성됩니다.

      이로 인해 차를 움직일 수 있는 전압이 생성됩니다.

      일반 자동차에 비해 매연을 발생하지 않으니 환경에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