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자본수지 개념과 현재의 금융계정 개념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과거의 '자본수지' 개념과 현재의 '금융계정' 개념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과거 자본수지에 포함되었던 항목 중 현재 금융계정에 포함된 항목은 무엇인가요?
과거의 자본수지는 자본 거래와 금융 거래를 모두 포함한 광범위한 개념으로, 국제 간 자산 취득·처분, 채권·주식 거래, 차입 및 대출 등 다양한 항목을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국제수지표에서 자본수지와 금융계정이 별도로 구분됩니다.
현재 자본수지는 비생산·비금융 자산의 거래와 채무 탕감 같은 자본 이전에만 초점을 맞추며, 과거 자본수지에 포함되었던 대부분의 금융 거래 항목은 금융계정으로 재분류되었습니다.
금융계정은 국경을 넘는 금융 자산과 부채의 변화를 포괄하며, 여기에는 직접 투자, 증권 투자, 기타 투자, 그리고 준비자산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과거 자본수지에서 금융계정으로 이동된 항목에는 기업 인수나 설립과 같은 직접 투자, 채권과 주식 거래를 다루는 증권 투자, 대출이나 예금, 무역신용과 같은 기타 투자, 외환보유액 변화를 나타내는 준비자산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재구성은 국제통화기금(IMF)의 권고에 따른 변화로, 국제수지표의 투명성을 높이고 자본 이동과 금융 흐름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자본수지는 비금융적 자산 거래와 일회성 자본 이전만을 다루는 간결한 개념으로 재정립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과거의 자본수지 개념과 현재의 금융 계정 개념은 어떤 차이가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자본수지는 자본 이전 및 비생산, 비금융 자산 거래를 기록하게 되고
금융게정이란 직접투자, 증권 투자, 파생 금융 상품, 기타 투자 및 준비 자산으로 구성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 자본수지는 국제수지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로서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의 자본 거래를 통해 생기는 수입과 지출의 차액을 의미했습니다. 2010년 IMF의 새로운 국제수지 매뉴얼을 따르면서 자본 계정과 금융 계정으로 세분화되었습니다. 금융계정은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상품투자, 기타투자, 준비자산 들으로 구성됩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과 외국인이 국내외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며, 증권투자는 주식, 채권 등의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파생금융상품은 선물, 옵션 등의 금융상품에 투자하며, 기타투자는 대출, 차입 등의 거래입니다.
준비자산은 국제수지 불균형을 조정하디 위해 사용되는 자산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의 자본수지는 외환 거래 거래와 관련된 자본 흐름을 포함헀으나, 현재의 금융 계정은 자본 수지보다 더 포괄적으로 금융자산의 거래를 다룹니다. 자본수지에 포함되었던 항목 중 현재 금융계정에 포함되는 항목은 직접 투자, 증권 투자, 파생상품 등이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의 자본수지는 우리나라의 기업ㆍ금융기관 등과 외국 기업ㆍ금융기관 등이 자본거래를 해서 생기는 수입과 지출의 차액이고, 현대의 금융계정은 대외거래 중 금융부문 거래만을 나타낸 통계로 준비자산증감을 포함한 모든 금융자산·부채의 거래에 대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