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

선진국 중 강대국일수록 소프트파워가 핵심인데 이 핵심 무형자산인 소프트파워는 무엇이 있을까요?

세계 유수의 기관에서 선진국중에서 강대국일수록 소프트파워가 핵심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유형자산이 아닌 이 핵심 무형자산에는 어떤것을 보유하고 핵심이 되는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핵심 소프트웨어라고 한다면 아무래도 지금 테슬라가 시도하고 있는 자율주행과 같은 소프트웨어, 반도체직접회로설계, AI의 응용프로그램등이 있을 수 있어요

  • 질문해주신 선진국 중 강대국일수록 소프트파워가 핵심인데 이 소프트파워에는 무엇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질문 그대로 소프트웨어가 강대국의 특징 중에 하나입니다.

    당장 최강대국인 미국만 보더라도 전세계 자산 중 시가 총액 2위에 랭크된 마이크로소프트 회사가 있습니다.

    MS는 소프트웨어의 최강 회사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소프트파워는 ‘강제나 보상이 아닌 설득과 매력을 통해 원하는 것을 얻는 능력’을 가리킨다. 미국 하버드대 교수 조지프 나이가 1980년대 논란이 되었던 ‘미국 쇠퇴론’에 대해 반박하면서 처음 제기한 개념입니다. 그는 당시 미국의 국력이 쇠퇴하고 있지만 상대적이고, 미국은 하드파워(hard power) 외에 강력한 소프트파워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나이는 군사력과 경제제재처럼 위협과 강제를 할 수 있는 힘을 하드파워로, 강제보다는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설득하며 호감을 사는 능력을 소프트파워로 규정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넉넉한키위191님,

    사람으로 한번 비유를 해볼게요^^

    이전에는 사냥을 하고 전쟁을 하던..원시적인 환경 아니 마초적인 분위기의 사회에서는 주먹과 힘이 센 사람이 제일이죠. 이 주먹과 힘이 바로 하드파워입니다.

    하지만 인류의 역사가 발전하면서 하드파워 (주먹과힘)보다 사회적인 관계가 더욱 다양해지면서 공감을 얻는 능력 글/언어/표현이 더욱 중요해지는 사회가 되었습니다. 더 이상 주먹과 힘만 센 남자가 제일 인 사회는 없어진거죠.

    선진화 된 사회구조를 가진 나라일 수록 이런 소프트파워의 힘이 강조 됨을 알 수 있습니다.

    국제정세도 이와 똑같습니다.

    비록 군사력, 경제력 같은 하드파워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변함이 없지만, 국가 간의 협조관계를 더욱 유리하게 가져 갈 수 있는 국가브랜드 향상에 소프트파워 (문화,예술, 음악 등)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게 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 드립니다.

  • 문화적인 영향력이 강조되는 현대 사회에서는 소프트파워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는 한국의 문화 콘텐츠가 해외에서 큰 인기를 얻는 등의 현상을 통해 명확히 확인됩니다. 예를 들어, BTS나 오징어게임과 같은 한국의 문화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으면서 한국의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이미지와 인지도는 한국 기업들의 수출 증가와 같은 형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의 문화 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에서 큰 파급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소프트 파워는 한 나라가 다른 나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무형자산을 의미합니다. 이 핵심 무형자산에는 문화, 외교, 가치관, 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할리우드 영화나 케이팝 음악 같은 문화, 유학생을 끌어들이는 교육 시스템, 그리고 민주주의나 인권 같은 보편적 가치가 소프트 파워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 아무래도 플랫폼이 소프트 파워의 핵심인 것 같습니다.

    미국 기업 중 구굴의 유튜브나 넷플릭스 마이크로 소프트의 윈도우 시리즈 등 이러한 것이 소프트 파워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선진국의 소프트웨어 파워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 능력, 우수한 인력양성 체계, 글로벌 시장 선점력,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사회 문화 등이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글로벌 시장에서 해당 국가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주는 것을 뜻합니다.

  • 크게 두세 가지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에서 인정받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이나 영국 등 몇몇 국가들은 국제적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서 더 큰 발언권을 가지고 있고 더 많은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단순히 그 나라의 돈이 많아서만 그런 것은 아닙니다

    그 나라가 지금까지 해온 역사와 그리고 국가간의 관계 또 국제적으로 베푸는 행위 등을 통해서 오랫동안 쌓아온 것입니다

    또 하나는 문화적 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화적으로 우월하다. 저급하다라는 것은 판단하기 힘들지만 더 널리 유행하고 선도하는 문화는 있습니다. 최근 우리나라 케이팝도 이처럼 문화의 파워가 생긴 현상 중에 하나입니다

  • 주요 소프트파워 요소로는 문화, 정치제도, 외교력, 국제개발원조, 국제교육, 언어, 인터넷 및 미디어 영향력, 과학기술 혁신 등이 있습니다. 선진국이 강대국이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소프트파워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발전시키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소프트파워(Soft Power)는 군사력이나 경제력과 같은 하드파워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다른 나라나 집단이 자발적으로 특정 국가의 가치와 문화를 받아들이도록 만드는 영향력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문화, 정치적 가치, 외교 정책, 교육, 기술 혁신 등이 있겠습니다.

  • 소프트파워는 단일한 요소가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이 결합하여 형성됩니다. 각 나라의 소프트파워는 그 나라의 역사, 문화, 경제, 기술, 정치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유래하며, 이러한 다양성이 그 나라의 국제적 영향력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소프트파워는 할리우드 영화를 비롯한 엔터테인먼트 산업, 혁신적인 기술 제품, 그리고 자유로운 정보 접근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납니다. 이와 같이 각 나라의 소프트파워는 그 나라의 고유한 특성과 강점에 기반하여 형성되며, 국제 사회에서 그 나라의 영향력을 증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 소프트파워는 한 나라가 군사력이나 경제력 같은 강압적인 힘이 아닌, 문화, 가치관, 정책 등을 통해 다른 나라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버드 대학교의 조지프 나이 교수가 처음 제안한 개념으로, 현대 국제 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선진국 중 강대국일수록 소프트파워가 중요한 이유는 단순한 물리적 힘 이상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소프트파워의 핵심 무형 자산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됩니다:

    1. 문화: 영화, 음악, 문학, 예술 등의 문화적 콘텐츠는 국가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다른 나라 사람들이 그 나라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할리우드 영화와 팝 음악, 일본의 애니메이션과 만화, 한국의 K-팝과 드라마 등이 대표적입니다.

    2. 교육과 연구: 세계적인 대학과 연구기관은 인재를 끌어들이고, 그 나라의 지적 리더십을 강화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하버드 대학교,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교, 일본의 도쿄 대학교 등이 있습니다. 이들 기관은 국제적인 연구 협력과 교육 교류를 통해 다른 나라와의 관계를 돈독히 합니다.

    3. 외교 정책과 가치관: 민주주의, 인권, 자유와 같은 보편적인 가치관을 지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외교 정책을 펼치는 것은 그 나라에 대한 신뢰와 존경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유럽연합의 인권 정책, 캐나다의 다문화주의,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복지 모델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4. 기술과 혁신: 기술 발전과 혁신은 경제력을 넘어 국제적인 영향력을 확대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실리콘 밸리의 스타트업 문화, 독일의 공학 기술, 중국의 IT 혁신 등이 글로벌 트렌드를 주도하며 소프트파워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5. 언론과 미디어: 국제적인 뉴스 채널과 미디어 플랫폼은 그 나라의 시각을 전 세계에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NN, BBC, NHK 등의 뉴스 채널은 전 세계에서 신뢰받는 정보원을 제공하며 그 나라의 소프트파워를 증대시킵니다.

    소프트파워는 강대국들이 세계 무대에서 자신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다른 나라들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유형 자산이 아닌 무형 자산인 소프트파워를 통해, 강대국들은 국제 사회에서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