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파워를 효과적으로 활용한 국가가 있나요?
소프트파워를 효과적으로 활용한 국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어떻게 소프트파워를 활용했으며 이로 인해 국제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은 문화 측면에서 매우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로, 경제성장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2000년대부터 소프트 파워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특히 2010년대 이후로는 음악, 드라마, 영화 등의 분야에서 세계 최상위권의 파워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위에서 앞서 언급된 소프트 파워의 국가 순위에서도 2022년 글로벌 컨설팅 기관인 브랜드 파이낸스의 기준으로 아시아 3위, 세계 12위를 기록하였으며, 한류로 대표되는 소프트파워를 가진 문화강국입니다.
일본, 중국과는 달리 전통적인 소프트파워는 아직 모자란 감이 있는데,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 또한 이 점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입니다. 6.25 전쟁과 개발로 인해 없어진 유형/무형 문화재도 많았지만, 남아있는 자료도 아직 충분히 활용하기까지는 추가적인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예컨대, 한문으로 된 고문서 해독이 가능한 인구가 점점 줄어들다 보니 승정원일기의 번역 작업도 지지부진한 상태입니다. 그나마 조선왕조실록 번역이 완료된 뒤로는 다양한 역사적 컨텐츠가 발굴되어 대중문화에 점차 반영되고 있습니다.
한국이 국가차원에서 소프트파워 육성을 위해 지원하는 기관으로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있습니다. 한국과 한국문화 자체를 국제적으로 홍보한다는 측면에서는 국가브랜드위원회가 홍보를 도맡고 있습니다.
- 일본은 소프트 파워가 강력한 국가 입니다. 소프트 파워와 하드 파워가 있는데
하드 파워는 경제력, 군사력을 나타내며
소프트 파워는 그 국가에 대한 이미지, 문화, 예술 등 을 의미하는데 일본은 이 소프트 파워 이미지가 굉장히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프트 파워(soft power) 또는 연성 권력(軟性權力)은 하버드 대 조지프 나이가 고안한 개념으로, 설득의 수단으로서 돈이나 권력 등의 강요가 아닌 매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고 합니다. 소프트파워의 중요한 특징은 비 강제적이라는 것이 특징 입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한류 문화입니다. 한류 문화의 덕으로 우리나라의 소프트 파워는 전 세계 2위를 차지 할 정도로 엄청 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