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력을 평가할때 하드파워말고 소프트파워가 무엇이며 이 소프트파워가 더욱 중요해진 이유가 무엇인가요?
한 나라의 국력을 평가할때 경제력 군사같은 하드파워말고 소프트파워를 이야기를 하는데요
이 소프트파워의 기준과 무었인지 궁금하며 최근에 이 소프트파워가 더욱 중요해진 이유가 무었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력을 평가할 때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인 소프트파워는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스쿨의 조지프 나이가 고안한 개념으로, 군사력이나 경제력 등의 하드파워와 대비되는 개념입니다. 국제사회가 다양화되고, 상호의존성이 증가하면서, 강제력이나 위협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워졌습니다. 그리고 문화와 예술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문화와 예술을 통해 다른 나라의 호감을 얻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이렇게 상대방의 자발적인 동의와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해지면서, 소프트파워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프트 파워(Soft power) 또는 연성 권력은
원하는 결과를 보여주는 매력의 일종 또는
상대가 스스로 행동하고 싶게 만드는 능력 이라는 뜻입니다
도덕, 사회규범, 윤리, 민주주의 등 정신적인 가치관.
예술, 학문 등의 문화적인 업적
외교적 지위 등이 해당됩니다
전쟁과 협박이 쉽게 이뤄지고 문화적 영향력을 전파하기 힘들던 옛날에는
국방력이나 경제력 같은 하드 파워등이 훨씬 더 유리 했지만
전세계가 경제적으로 묶여 있어 전쟁의 이득은 점점 줄어듦과 동시에
인터넷 등 각종 매체의 발달로 지구 반대편 문화도 쉽게 접할 수 있게된 현대에는
소프트 파워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