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방구는나가서
방구는나가서22.10.08

마약을 하면 왜 끊기 힘들다는건가요?

나이
34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흔히 한번 마약에 손대면 정말 끊기 어렵다고 하는데요.

얼마나 중독성이 강하면 그러는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마약은 정말 끊기 힘드나요?

무엇때문에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마약의 경우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내성, 중독성, 금단증상 등을 나타내게 됩니다. 약물이 신경계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개인의 의지로 중단하기 어렵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마약류의 경우에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하기에 습관성 및 내성이 있기에 지속적으로 복용하거나 남용시에 중독성이 있고 내성이 있기에 더 많은 용량이 필요로 되기에 남용하면 안되며 치료를 위해 병원진료가 필요로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마약은 뇌 신경세포(뉴런) 사이의 공간인 시냅스 등 뇌 구조와 기능에 수백 가지 변화를 일으킵니다.

    한 번 변형되면 복원조차 되지 않는 뇌의 '가소성'은 중독자들을 다시 약을 하고 싶은 강렬한 열망에 시달리게 합니다.

    마약이 뇌를 망가뜨리는 원리를 따라가다 보면 그 시작에는 쾌락 호르몬 '도파민'이 있습니다.

    도파민이란 우리의 기분을 좋게 만들어주는 뇌 속의 신경전달물질입니다.

    마약을 했을 때 뇌에서 분비되는 도파민이 지나치게 많아지게 됩니다.

    이 때문에 뇌의 피질에서 선조체로 도파민 등의 신경 정보가 전달되는 '쾌감 회로(보상 회로)'가 왜곡되기 시작합니다. 또 기쁨을 느끼려면 도파민이 신경 세포에 있는 도파민 수용체와 결합해야 하는데 도파민 양이 과도해지면 이 수용체들이 결합을 하지 않고 숨어 버립니다.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몸이 일부러 수용체 수를 줄이기 때문이며 결국 같은 수준의 쾌감을 위해 더 많은 도파민이 필요해지고 이로 인해 중독자들은 마약 투여량을 더 확대하게 되는 깊은 악순환의 수렁에 빠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마약은 중독성이 아주 강한 약물입니다.

    한번 드시게 되면 뇌의 기능을 중독성화 시키기 때문에 아주 위험한 약물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마약은 보통 뇌에서 도파민 수치를 증가시켜 강력한 행복감에 빠지게 합니다.

    마약을 사용하다보면 도파민 수용체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때 과거에 사용했던 같은 용량을 사용하게 되면 똑같은 행복감을 느끼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같은 효과를 보이려면 더 많은 용량을 사용해야 하며, 시간이 오래 지나게 되면 그마저도 효과가 부족해지게 됩니다. 그래서 한번 행복감을 맛본 경우 중단하기 어려우며, 같은 행복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더 많은 용량을 사용해야 합니다.

    마약을 끊기 어려운 이유는 도파민에 중독되어서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마약 성분에 노출되게 되면 우리 몸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게 됩니다. 즉 정상적인 신경회로를 왜곡시키기 때문에 자극에 대해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게 됩니다. 즉 과도한 자극이 필요하거나 적은 자극에도 반응할 수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우리 몸의 항상성 기전이 손상되게 되며 자극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게 되면 더 큰 자극을 원하거나 더 작은 자극을 원하게 되어 계속해서 약에 의존하게 될 수 밖에 없어 위험하다는 것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중추신경계의 쾌감을 느끼는 수용체에 작용하는데 마약이 사라지면 몸에서는 더 갈망하기때문에 의존성이 생기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인생에서 몇번 느끼지못할 행복감을 마약을 통해 매번 느낀다고 생각하면 그 황홀감에 다시 찾게되지 않을 수 있을까요? 뇌내 행복호르몬이라고 알려진 엔돌핀보다 훨씬 더 강력하게 작용하기때문에 중독성이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