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호화로운동고비112
호화로운동고비11223.11.22

나이가 먹을 수록 기억력이 감퇴하는 이유는?

생물학적으로 인간의 세포는 노화를 하고 그 결과 몸도 세포도 늙는데 나이먹을수록 뇌세포도 노화를 해서 기억력이 안 좋아지는 것인가요?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2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40, 50대엔 대부분 갱년기가 되면서 호르몬 분비체계의 변화가 일어나고 뇌의 이마엽(전두엽) 등 대뇌피질 세포가 퇴화하면서 자연히 기억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술이나 혈압을 떨어뜨리는 약, 우울증 치료제 등의 약물도 기억력을 떨어뜨릴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세포는 나이를 들어가면서 점차 그 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뇌에 있는 신경세포도 그 노화의 일환이 될 수 있는데 기억력이 좋다는 것은 뇌에 있는 신경세포의 활동이 활발하며 연결이 잘 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노화가 되게 되면이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기억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뇌세포도 노화하여 기억력이 감퇴합니다. 뇌세포는 일반적으로 25세 이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65세 이후에는 급격하게 감소합니다. 뇌세포가 감소하면,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고 저장하는 능력이 저하됩니다. 또한, 기존에 저장된 정보를 기억해내는 능력도 저하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뇌세포와 두뇌 활동은 16~18세까지 성장하고 활성화합니다. 그 이후부터 기억력이 떨어지기 시작해 30대부터 순간순간 건망증이 나타납니다. 기억력 감퇴는 대체로 30대에 들어서면서 시작되지만, 사람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기억력 저하는 뇌신경세포를 죽이는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독성 물질이 쌓이면서 시작됩니다. 이 물질이 누적돼 기억력에 영향을 일으키는 시점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흡연이나 기름진 식습관 등으로 뇌혈관이 빨리 좁아지는 사람일수록 기억력 감퇴도 빨리 옵니다. 혈류를 통해 해마에 영양을 공급하고 독성물질을 비롯한 노폐물이 빠져나가야 하는데, 혈관이 좁아지면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서 뇌세포 수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단기기억을 장기기억화시키는 해마의 세포가 손상을 입으면 최근에 생긴 일부터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