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헤르페스2형 피검사로 확진받았는데 임신계획은 어떡하나요?
헤르페스2형인데 임신계획중인데 제성기에 수포는 없는데 전염에 대해 궁금해요.
수포는 없는데 전염은 안될까요?(전염의 방식이 궁금합니다. 물론약은계속먹는다는가정)
임신이 되어서 아기가 생기면 헤르페스 2형이 유전되나요?
사실 지금 너무 두렵고 무섭습니다. 완치가 없다고는 검색으로 알게되었는데 접촉만하면 병을 옮기는 보균자가 되는건지 너무 걱정됩니다.
상세한 전염방식이 알고싶어요.
ex)성기가 어떤 상태일땐 감염이 없으니 꾸준히 약먹는다면 성병은 없다 라도 생각해도 된다.
라던지..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헤르페스 2형(HSV-2)은 수포가 없더라도 무증상 감염 상태에서도 전염될 수 있습니다. 특히 피부 접촉이나 성적 접촉을 통해 전염되며, 수포가 있을 때가 전염 위험이 가장 높지만, 수포가 없더라도 바이러스가 전염될 수 있어요. 약을 꾸준히 복용하면 전염 위험이 줄어들지만, 완전히 차단되지는 않습니다. 임신 중에는 출산 시에 감염이 아기에게 전염될 수 있지만, 약물 치료와 의사의 관리 아래에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헤르페스는 유전되지 않지만, 출산 과정에서 아기에게 감염될 수 있으므로, 임신 중에는 의사와 상의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1) 전염 방식
헤르페스 2형은 성적접촉을 통해 전염되며 수포가 없더라도 무증상 바이러스배출을 통해 전파 가능합니다. 꾸준한 항바이러스제 복용시 전염위험을 크게 낮출 수는 있지만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습니다.
2) 태아 전파 가능성
유전된다기보다는 임신 또는 출산 시 태아에게 전파 가능합니다. 특히 자연분만시 산도를 빠져나오면서 직접 전파 가능합니다.
파트너와 상의하고 전문의와 상담하에 적절한 관리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증상이 없는 기간에 관계를 가지시고 항바이러스제 복용을 지속해 바이러스 활성을 억제해야 합니다. 정기적 산전 검진을 받고 헤르페스 증상 발생시 즉시 의사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출산 시 산모에 감염이 있으면 태아에게 전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왕절개를 고려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성적인 접촉을 통해서 거의 대부분 전염이 이뤄집니다. 수포가 없어도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으면 전염이 될 수 있으며 무증상으로도 전염이 가능합니다.
임신된 상태에서 헤르페스2형에 감염이 될 경우 태아에게 바이러스가 전염이 될 수 있습니다.
완치가 가능한 질환인 만큼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통해서 최대한 치료를 받으시길 권고드립니다. 완치 판정을 받기 전에는 성관계를 지양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