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신박한까마귀
신박한까마귀

지방과 수도권의 교육환경의 차이가 실제로 많이 날까요?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보통 지방에 사시는분들이 아이의 교육을 위햋수도권으로 많이 이사를 가시는데 지방과 수도권의 교육환경이 차이가 많이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교육환경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경제력, 인구 밀도, 교통 편의성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도권은 교육기관이 밀집되어 있어 선택의 폭이 넓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방에서도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학교들이 있으며, 학생들의 학습 성과와 만족도가 높을 수 있습니다.

  • 지방과 수도권은 아무래도 교육 환경이 많이 차이납니다. 지방에서도 공부 잘하는 학생들은 어디에서든 잘 하지만 환경또한 무시 할 수 없죠. 교육 인프라를 보면 수도권은 명문학교, 학원가, 특목고, 자사고 등이 밀집해 있어 다양한 선택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지방은 선택할 수 있는 부분이 적습니다.

    교사 및 교육 자원을 보면 수도권은 많은 교사들이 수도권에서 근무를 희망하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하고 그렇기 때문에 교육의 질이 높은 편입니다. 지방은 교사 수급이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학습환경은 수도권은 학습 환경이 매우 경쟁적입니다. 학생들 간 경쟁이 치열하고 다양한 학습 지원 프로그램과 방과후 활동 등이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지방은 비교적 덜 경쟁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 지방과 수도권의 교육환경은 차이는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수도권과 지방교육의 큰 차이점은 역량교육 입니다.

    동일 시대 동일 교육과정이지만 지역마다 교육의 지향점이 다르기 때문 입니다.

    또 사교육의 질과 양의 차이로 인해서 수도권과 지방간 교육격차는 많이 벌어질 수밖에 없어요.

    그렇기에 교육차이는 사교육의 질적.양적의 차이로 인하여 수도권 쏠림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 아이 하기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방도 지방내에서 상급지는 왠만한 서울 학군 못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내아이가 누가 봐도 똑똑한 영재수준이라면 몰라도 그정도가 아니라면 지방이라도 좋은 학군으로 가셔도 됩니다

  • 통계표를 보면 4년간 SKY 합격생은 수도권에서 약 70% 정도가 나왔는데요. 이러한 부분만 봐서도 교육격차 영향을 생각해볼 수 밖에 없는데요. 사교육의 질적 양적 차이로 인해 이러한 쏠림 현상이 나오고 있는 듯 합니다.

  • 지방과 수도권의 교육환경 차이가 많이 나지요.

    아이 교육을 위해 학군과 학원 좋은곳을 찾아 이사가기도 하죠.

    능력있는 강사와 경쟁력 있는 학원들이 많이 있어 정보나 학습부분에서 도움이 많이 된다고 해요.

    아이가 얼마나 열심히 노력하느냐에 따라 효과는 달라지겠지만요.

    방학때 되면 서울로 학원다니는 아이들도 꽤 있더라구요.

  • 교육자원 및 환경에서의 차이점은

    수도권은 풍부한 교육자원과 우수한 교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학생들의 수학능력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지방지역의 학교들은 상대적으로 교육 자원이 부족하며 우수한 교사를 유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에 직면해 있을 수 있습니다

  • 지방과 수도권의 교육환경의 경우에는 실제로 많이 차이가 나진 않는다고 합니다. 다만 주변의 부모님들이 아이들의 학업에 대해서 많이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교육열이 높다고 합니다. 따라서 아이들이 자의든 타의든 공부를 하는 분위기가 아주 많기 때문에 그 분위기에 휩쓸려서 공부를 열심히 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부모님들이 그쪽으로 많이 가려고 하는것 같습니다.

  • 사실 요즘 지방과 수도권 지역과의 교육 격차가 아주 크다고는 볼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물론 아주 지방의 시골이나 군,구단위에서는 학력격차가 날수밖에는 없습니다만 시,광역시 단위에서는 수도권지역과 엄청난 차이가 나는것은 아닙니다. 학원들도 있을만한건 다있습니다. 사실상 뉴스나 언론에서 발표하는 자료들을 보았을때는 격차가 여전히 심한것으로 보이나 약간이 과장이 섞여있습니다.

  • 지방과 수도권의 차이는 과거에 비해서는 줄었다고 할수있으나 아직까지는 격차가 있는것으로 볼수있으며

    특수학군을 제외하고는 교육열이나 교육 기관등에도 큰차이가있겠습니다.

  • 아무래도 수요가 많은곳의 서비스가 질적으로도 양적으로도 나을 수 밖에 없습니다. 수도권안에서도 큰도시와 소도시의 차이도 많이 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