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진리의 샘
진리의 샘

반도체가 재고로 쌓이는 이유가 뭔가요?

반도체 회사인 삼성이 반도체 재고가 쌓여서 어려움에 있다고 하는데요. 반도체를 싸게 팔아 재고처리하면 될텐데, 왜 재고를 쌓아두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반도체의 재고가 쌓이고 있는 것은 중국의 내수침체로 인해서 반도체가 작년 중순부터 잘 팔리지 않았고 당시 반도체 가격의 20%나 할인을 해서 판매했음에도 불구하고 잘 팔리지 않아 재고가 쌓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반도체 기업들은 감산을 위해서 공장을 쉬게 되면 수율이 나빠지게 되고 규모의 경제가 낮아지면서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다 보니 감산을 하지 않고 꾸준히 생산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된 고금리 시장기조로 인해서 소비침체가 심각하고 이로 인해서 반도체 시장 전반의 수요가 감소한 상황에다가 반도체 기업들의 치킨게임으로 인해서 경쟁이 심화되어 재고가 지속적으로 쌓이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반도체와 같은 경우에는 경기민감주에 속합니다.

      경기가 좋지 않아 이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어 재고가 쌓이는 것이며

      이를 헐값에 팔 경우에는 미래에 반도체가격 상승 등에 부담을 느껴

      그런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반도체 산업에서는 국내외 글로벌 기업들의 반도체 재고가 많이 쌓이고 있습니다. 국내외 기업의 반도체 재고가 15주에서 20주까지 쌓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반도체 적정 재고인 5~6주보다 넉 달치 재고가 쌓인 것입니다. 이에 따라 반도체 가격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북미를 비롯한 해외 시장에서도 수요가 부진한 상황이며, 이는 경기 침체와 연관이 있습니다. 반도체 수요가 감소하면서 기업들은 생산을 줄이지만, 생산량이 수요에 비해 많아지면 재고가 쌓이고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따라서 현재 반도체 산업에서는 과잉 생산으로 인한 재고 증가가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반도체 가격은 계속 하향 추세입니다. IT 회사들은 안그래도 재고가 많이 쌓여 있는데 굳이 지금 반도체를 살 필요는 없죠.

      삼성이나 하이닉스는 감산을 통해 어느정도 조절하고자 하나 이미 재고가 넘쳐서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이런 흐름은 빨라도 하반기, 늦으면 내년까지 이어질 전망입니다. 참고로 올해 하이닉스 영업이익은 10조 가까운 적자 예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