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은 왜 계속 돌고 도는 것일까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사계절이 존재하고
매년 월마다 오는 계절이 정해져있는데
왜 항상 유사한 시기에 똑같은 계절들이 돌고 돌아서 다시 오는 것일까요?
지구에 계절이 발생되는 가장 큰 원인은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 주기와 스스로 자전하는 주기는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일정한 시기에 계절이 반복 됩니다.
북반구 기준으로 지구가 자전축이 태양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자전하면서 태양공정궤도에 위치 할때 북반구는 여름이되고, 반대로 남반구는 겨울이 됩니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태양주변을 돌 때 원으로 돌지 않고, 타원으로 돌고 있습니다.
따라서 여름에는 태양과 지구사이가 가장 가까울 때고,
겨울에는 태양과 지구 사이가 가장 멀 때 입니다.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로 인해 사계절이 돌고 돌면서 나타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근 자전과 공전을 합니다. 자전으로 인해 낮과밤이 생기는것이며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것 입니다. 태양과 가까워지면 여름이 오고 멀어지면 겨울이 오고 중간이면 봄, 가을이 오는것 입니다. 이 공전 주기가 일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계절이 거의 비슷한달에 변하는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공전하는데 궤도면이 기울어져서 공전하기 때문에 태양빛이 들어오는 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태양주위를 1년에 한바퀴씩 공전을 하는데
똑바로 서서 공전한다면 계절젼화가 없지만
기울어진채 공전하기때문에 계절별로 받는 태양복사에너지 차이로 인해 계절변화가 나타납니다~
도움되셨기를~~
정답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계속 돌고 있기 때문이에요. 태양과 가까운 지역은 더운 여름이 되고, 멀리 있는 지역은 추운 겨울이 된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은 지구가 태양주위를 1년에 한바퀴도는 것과 지구가 약간 기울어져 있어 기후가 4계절이 생기는 것입니다.
1년에 한바퀴 돌때 마다 태양 빛을 많이 받았다가 들받았다가 하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단 지구는 스스로 자전하는 동시에
1년에 한 바퀴씩 태양의 둘레는 도는 공전을 합니다.
그런데 지구가 자전을 하는 축은 지구가 공전하는 축에 대해서
23.5도 기울어진 채 태양 주위를 공전을 하기 때문에
계절이 생기는 거예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은 지구자전축이 기울어져있는 상태에서 태양을 공전하며 만들어지는 현상입니다.
자전축이 태양을 바라보면 햇빛의 입사각이 커지며 조사량이 많아집니다. 반대방향을 바라보면 반대로 입사각이 작아지며 조사량이 적어집니다.
즉, 태양에너지의 양 차이에의해서 여름과 겨울이 나뉘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