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4.03.01

국내 주식은 왜 늘 저평가 인가요?

미국주식은 매일 사상최고가를 기록하고 있는데 국내주식은 정말 왜이렇게 저평가인가요? 늘 저평가인 특별한 이유나 원인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주식시장은 북한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구조적인 문제 중국의 영향등으로 저평가되어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주식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저평가를 받는 이유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때문이라고 해요. 이러한 코리아디스카운트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주주환원정책의 미흡', '지역적 리스크', '가족세습의 경영방식'으로 인한 문제점들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일단 투자자들에게 우호적이며 주주환원 정책이

    많은 기업들이 있습니다. 또 한 나라자체적으로도

    경제성장에 앞장서구 있구요 국내주식은 가족중심 경영이

    많으면서 주주환원보다는 본인들이 다 가져가는 구조에다가 외국인 투자자본의 규모도 크지 않습니다.

    개인 투자자의 규모도 당연히 비교 불가이구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최근 가장 문제로 뽑히는 점은 우리나라 특유의 지배구조 문제가 주된 이슈입니다

    • 주주를 위한 정책이 아닌 오너일가를 위한 정책으로 주가를 누르고 이익을 기업의 오너가 나눠

      갖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보니 외국인이나 기관입장에서 굳이 국내에 투자할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 같은 기업이라도 미국에 상장하면 더 높은 밸류를 받는 것도 이와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낮은 주주환원율,

    선진화되지 못한 주식시장, 대북리스크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저평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시장과 한국시장은 다르고 국가마다 경제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그것만 가지고 저평가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국내 기업의 경우 기업환경이 기업보다는 노동자에게 유리하게 되어 있고, 시장의 파이 자체가 크지는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저평가 받을 수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통적으로 코리아디스카운트의 이유는 지정학적 리스크입니다. 북한의 예측하기 어려운 도발이 잦아 주식 시장은 그때마다 변동성을 보이곤 했습니다. 또한 한국 재벌 기업의 복잡한 지배구조입니다. 지배구조가 복잡할 경우 적정 기업가치 산정에 어려움이 따르고 이런 복잡성을 외국인 투자가들은 극도로 경계하고 싫어합니다.

    물론 지난 십수년 간 북핵 리스크에 의한 코리아디스카운트는 충분히 제어가 가능해졌고 지배구조 개선에 따른 복잡성 또한 상당히 완화 되었습니다. 그러나 미중 무역 전쟁의 와중에 서방이라고 할 수 없는 한국 국적 기업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 큰 혼선을 겪고 있고 주력 시장 또한 줄어 들고 있어서 기업가치 제고에 제한이 따르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 기업들이 내수 시장 크기가 애매하고 주로 수출 시장에 의지하고 있어 외부 환경에 실적이 민감한 것도 기업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따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 주식이 다른 나라의 주식에 비해 저평가라고 불리는 이유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지리적 위치와 더불어 높은 중국 수출 의존도, 선진국 대비 낮은 주주환원율 등의 복합적 요인 때문에 저평가되어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 주식이 저평가되어 있는 이유는 주주환원률이 낮아서 그렇다고는 하지만 실제 다양한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기업들은 잠재력이나 실적에 비해 주가가 낮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외부 요인으로는 시장의 불안정성, 정치적 불확실성, 경제 상황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투자자들의 심리적 요인이나 외국인 투자자들의 참여 정도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식 시장은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주식이 저평가되거나 고평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한국 주식의 저평가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한국 주식 시장의 저평가를 극복하기 위해서 여러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주식 시장은 큰 반응을 보이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일단 한국 주식에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있는 것은

    결국 대부분 기업의 경영진들의 주주에 대한 의식에 큰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

    주주를 보호하기 보다는 대주주 몇 명을 위한 정책을 펴는 등의 문제가 지속되기에

    저평가 된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