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편안한영앙129
편안한영앙12923.01.08

금리는 왜 소비자물가지수에 민감한건가요?

금리는 왜 소비자 물가지수로 보면서 금리를 인상 인하를 시켜서 소비자 물가지수에 많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움직이는걸까요? 이유를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비자 물가 지수(CPI)는 인플레이션의 척도이며 인플레이션의 변화는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금리는 종종 소비자 물가 지수(CPI)의 변화에 ​​민감합니다. 인플레이션은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의 일반적인 수준이 상승하고 그에 따라 구매력이 떨어지는 비율입니다. 미국 연방 준비 은행과 같은 중앙 은행은 인플레이션을 관리하고 물가 안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로 금리 변동을 자주 사용합니다.

    CPI가 상승하면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가격이 상승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추세가 계속되면 인플레이션 수준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물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중앙 은행은 금리 인상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높은 이자율은 수요를 줄이고 경제를 둔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인플레이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CPI가 하락하거나 디플레이션(일반 물가 수준의 지속적인 하락) 위험이 있는 경우 중앙은행은 수요를 진작하고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금리를 인하할 수 있습니다.

    중앙은행은 CPI 및 기타 경제 지표의 변화에 ​​따라 금리를 높이거나 낮춤으로써 경제 안정을 촉진하고 장기적으로 물가 안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하여는 금리를 올리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이에 따라서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라서

    금리를 인상, 동결, 인하 등을 하기 때문에 중요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금 미국이 금리를 올리는 것은 CPI가 높게 나와서 그렇습니다

    물가가 올라가니 금리를 오려서 물가를 잡으려고 하는 것이고,

    그래서 물가가 잡히면 금리가 내려갈 테니 금리는 물가에 민감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금리인상을 하는 근본적인 이유가 '소비자 물가지수' 즉 인플레이션의 억제를 위해서 하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이라는 것은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증가하여 제품이나 물건 그리고 서비스의 가치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화폐의 가치가 낮아지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며, '실질임금의 감소'라고도 표현하게 됩니다. 인플레이션이 심화되게 되면 해당 국가의 화폐는 '가치저장 기능'을 상실하게 되면서 통화정책이 통제를 상실할 수 있어서 인플레이션을 조기에 억제하는 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이 소비자물가지수를 잡지 못하여 국가의 위험이 초래되는 상황의 가장 대표적인 국가가 베네수엘라나 터키와 같은 국가들이 있습니다. 이 국가들은 월급을 받더라도 이번달에 10개의 물건을 살 수 있었는데, 다음달에는 똑같은 월급을 받아도 5개의 물건을 살 수 있다면 해당 국가의 사람들은 화폐를 빨리 소비하거나 혹은 안전자산인 금이나 달러로 교환을 하려고 하게 되면서 국가는 '화폐의 통제'를 상실하게 되어 국가의 부도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