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옹골진박쥐51
옹골진박쥐51

남반구에서의 온대저기압의 바람푸는

남반구에서 온대저기압이 생기면 풍향은 시계방향으로 생기잖아요 근데 전선이 통과하면 시계반대방향으로 변한다는 건 뭔소리인가요??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선은 기상학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입니다. 전선은 서로 다른 공기 질량이 충돌하여 생성되는 경계선을 의미합니다. 이 경계선은 차이가 있는 공기 질량 사이에서 기압, 온도, 습도 등의 변화로 인해 형성됩니다.

    일반적으로, 남반구에서 온대저기압이 형성되면, 대류 순환과 코리올리 효과에 의해 공기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합니다. 이로 인해 전선도 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전선이 통과하면서 풍향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변한다는 것은 전선이 생성되는 기상 조건이나 지리적인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전선이 통과하는 지역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복잡해지고, 지형이나 다른 대기 현상과 상호작용하면서 풍향이 변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방향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남반구에서의 온대저기압의 바람푸는 방향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남반구에서 온대저기압이 생기면 대기의 열이 상승하면서 고기압과 저기압이 형성됩니다. 이때 고기압은 시계방향으로 바람을 흘리고 저기압은 반시계방향으로 바람을 흘립니다. 이는 지구의 자전축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선이 통과하면 시계반대방향으로 바람의 방향이 변하는 이유는 전선이 지나가는 지역의 대기압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전선이 지나가는 지역에서는 대기압이 낮아지는데 이는 전선이 지나가는 지역의 대기가 더 따뜻해져서 상승하면서 생기는 것입니다. 이때 상승한 대기는 고기압과 저기압 사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선을 따라 바람을 흘리게 됩니다. 따라서 전선이 지나가는 지역에서는 바람의 방향이 시계반대방향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지구의 자전축과 관련이 있으며 전선이 지나가는 지역의 대기압 변화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변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온대 저기압은 따뜻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가 만나서 형성되고, 코리올리 효과로 인해

    남반구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합니다.

    전선은 따뜻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의 경계를 나타냅니다.

    이들은 공기의 이동방향과 속도에 영향을 줍니다.

    전선이 저기압을 통과하면 공기의 흐름 패턴이 변경됩니다.

    대기조건과 공기의 온도 차이 등의 영향을 받습니다.

    질문에서 전선이 통과하면 시계반대방향으로 변한다는 것은,

    더이상 온대저기압이 아니라, 차가운 고기압으로 바뀌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저기압은 주변에서 저기압중심부로 바람이 들어오는 방향(시계방향)이고,

    고기압은 자신이 기압이 높으니까 바깥쪽으로 바람이 나가는 방향(반시계방향)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