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파란쥐51
파란쥐51

은행금리가 가파르게오르는데요..이유가뭘까요?

올초 경기가어려워지고 러,우...전쟁에 경기가 더 침체됐는데....여러가지요인으로 금용에도 영향이...

금리도 많아올랐는데 왜오르는지?...언제까지올를지?

앞으로 어떡해야할지 알고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은행금리가 가파르게 올랐던 이유는 우리나라의 기준금리와 미국의 기준금가리가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어서 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미국의 기준금리를 쫓아갈 수 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벌어지게 되면 달러환율이 상승하게 되고 환율의 상승은 곧 원자재 매입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져 인플레이션 상승을 초래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곧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인상기조라고 보셔도 무방할 정도인데 지난 3월을 시작으로 미국은 0.25%의 금리에서 현재 4%의 금리까지 매우 빠르게 금리인상을 하였고 이에 우리나라도 기준금리 인상을 빠르게 하면서 시중은행들의 예금과 대출금리도 함께 빠르게 오르게 된 것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인상도 내년 중반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시중은행들의 예금이나 대출금리 또한 내년 중반까지 상승하게 되어 지금의 금리보다 1.5%정도 더 상승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비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중의 금리가 많이 상승하였고, 또한, 시장의 유동성이 감소하면서 돈의 가치가 상승하였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본격적인 금리인상에 나선 것은 치솟는 소비자물가에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올려 물가상승 대비에 나섭니다. 기준금리를 올려 풀려 있는 돈을 회수하기 위해서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의 물가상승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여파도 있지만, 코로나-19이후 진행된 금리인하정책과 양적완화 정책에 따라 물가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이를 억제하고자 긴축정책(금리인상, 양적긴축 등)을 미국과 우리나라와 같은 국가가 펼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속도조절이 있겠지만, 적어도 내년 상반기정도까지는 금리인상이 지속되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급격하게 인상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인하여 물가상승률이 지나치기 떄문에

      중앙은행에서 금리를 가파르게 올리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