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성숙한거위73
성숙한거위73

움직이는 빛을 어딘가 붙잡아 둘 수 있나요?

문득 든 생각인데 빛은 항상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데 이 빛을 사방에 완벽히 반사되는 거울이 있는 상자에 넣으면 붙아 둘 수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의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빛을 붙잡는다는 개념은 흥미로운 아이디어입니다. 빛은 광속이라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며, 이론적으로는 완벽히 반사되는 거울로 만든 상자에 빛을 가둬두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론적으로 완전한 반사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빛은 결국 조금씩 손실되거나 흡수되게 됩니다. 또한, 빛이 붙잡혀 있는 동안에도 반사로 인해 에너지를 잃게 되며 상자 내부의 물질 성분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빛을 완벽하게 붙잡아두려면 초전도 거울이나 매질의 성질 등을 활용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현재 연구 중이며,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완전한 구현이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움직이는 빛을 붙잡아 둘수없습니다. 빛은 무한히 직진운동을 하기때문입니다. 반사판으로 계속해서 반사는 시켜줄 수 있을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움직이는 빛을 어딘가에


    붙잡아 두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빛은 전자기파의 일종이며


    파동과 입자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빛은 진공 상태에서


    빛의 속도로 이동하며



    굴절이나 반사 등의 현상을


    통해 방향을 바꿀 수 있지만


    어딘가에 붙잡아 두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빛을 붙잡아 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기술은 존재합니다.


    회전하는 거울에 빛을 비추면 빛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는 거울이 회전하면서 빛의 방향을 계속 바꾸기 때문입니다.


    빛은 붙잡혀 있지 않고, 계속 이동하고 있습니다.


    홀로그램은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3차원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기술입니다.



    홀로그램 이미지는 실제 물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빛은 홀로그램 필름에 기록되어 있고


    관찰자가 홀로그램 필름을 통해 빛을 보면 3차원적인 이미지가 보이는 것입니다.


    광섬유는 빛을


    섬유 안에 가두어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빛은 광섬유 안에서 반사를 반복하며 이동합니다.


    이렇게 보면 빛이 광섬유 안에 갇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빛은 계속 이동하고 있습니다.


    움직이는 빛을 어딘가에 붙잡아 두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빛을 붙잡아 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기술은 존재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움직이는 빛을 붙잡아 두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빛은 전자기파로 이루어져 있어서 속도가 빠르고 질량이 없기 때문에 물질에 잡히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을 사방에 완벽히 반사하는 거울이 있는 상자에 넣으면 빛이 영원히 갇혀 붙어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불가능합니다 빛을 사방에 완벽히 반사하는 거울이 있는 상자에 넣더라도 빛은 영원히 갇혀 붙어 있지 않고, 점차적으로 에너지를 방출하고 상자 밖으로 나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을 '붙잡아 둔다’는 개념은 일반적으로 빛의 흐름을 제어하거나 특정 위치에 빛을 고정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빛은 전자기파의 한 형태로, 그 자체로는 물리적인 입자가 아니므로, 우리가 일상에서 물체를 붙잡아 두는 것처럼 빛을 붙잡아 둘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빛을 조작하고 제어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레이저입니다.

    따라서, 빛을 ‘붙잡아 두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지만, 빛의 흐름을 제어하고 조작하는 것은 가능하며 광학, 통신, 컴퓨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을 완벽하게 100프로 반사율을 갖는 유리로 6면체로 하면 가둔다는 개념이 이론적으로 가능하겠지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