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해가지지않아45
해가지지않아45

금리 상승이 기업 투자 감소와 경기 둔화로 이어지는 구조적 메커니즘의 요인

안녕하세요.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자금 조달 비용이 높아집니다. 기업의 투자 여력이 줄어들고 소비도 위축되는 연쇄적 경제 과정이 궁금합니다.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회사채 발행 수익률이 오르거나 차입 비용 부담이 커집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새로운 투자나 생산 확대를 줄이게 되며, 이는 기업 투자의 위축으로 이어집니다. 동시에 금리가 높아지면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가중되어 자연스럽게 소비할 수 있는 여력이 줄어들고, 민간 소비 위축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소비와 투자가 모두 줄어들면 기업은 매출 감소와 함께 재고가 쌓여 생산을 더 줄이게 되고, 다시 고용 감소나 임금 정체로 이어져 가계의 소득 감소 및 현금 흐름 악화를 초래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상승하면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해 투자 여력이 줄어들고, 이는 기업의 사업 확장 및 신규 투자 축소로 이어져 경기 둔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소비자들도 이자 부담이 커져 지출을 줄여 소비 위축으로 경제 전반의 성장세가 둔화되는 연쇄적 구조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리 상승이 기업 투자 감소와 경기 둔화로 이어지는 구조적 매커니즘에 대한 내용입니다.

    금리 상승하게 되면 아무래도 대출시 비용이 늘기 때문에

    투자 감소 및 경기 둔화로 이어지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일단 기존 기업 부채의 이자 부담이 가중되고 추가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고 자금 조달 자체도 쉽지 않은 상황이 벌어지게 됩니다. 개인 입장에서는 가처분 소득이 감소하는 것이고 기업 입장에서는 순이익이 감소하고 투자 자체가 줄어드는 상황이 벌어져 경제 활력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즉, 일자리 창출이 감소하고 경제 성장도 지장을 받게 되어 경제가 냉각 또는 침체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울러 시중의 부족한 유동성은 회사 주식 가격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회사채 발생 시장에도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개인 뿐 아니라 기업도 허리띠를 조이니 경제 활력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상승은 기업과 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기업은 대출 이자 등 자금 조달 비용이 높아져 신규 투자를 줄이고 고용을 축소하며, 이는 가계의 소득 감소로 이어집니다. 동시에 가계는 대출 이자 부담이 커져 소비를 줄이게 됩니다. 이처럼 투자와 소비가 모두 위축되면서 총수요가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억제되지만 경기 둔화가 심화되는 연쇄적 경제 과정이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오르면 기업이 돈을 빌릴 때 드는 비용이 커져 설비투자, 신규 사업, 채용 같은 지출을 자연스럽게 줄이게 됩니다.

    가계도 대출이자 부담이 커져 소비를 줄이면서 기업 매출이 감소해 투자 축소가 다시 강화되는 구조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중앙은행의 시중금리가 상승하면 대출금리 채권금리등 전체시장의 금융금리가 상승합니다

    기업이 자금을 빌리거나 채권발행으로 조달하는 금액들의 조달비용이 증가합니다

    그럼 기업들은 신규 공장 설비투자 연구및개발에 투자되는 자금을 끌어모으기가 어려워집니다 즉 기업 재무상 투자금을 끌어모으면 부채가 증가하여 경영난이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위해 투자를 미루거나 철회하는것입니다 

    기업의 투자가 감소하면 설비 및 고용증가가 둔화됩니다 

    또 기업들이 투자를 못한다는것을 알고있는 주식시장의 투자심리 또한 위축됩니다 주식시장과 자본시장이 약세로 접어들게 되는거죠

    이는 경제둔화 및 총수요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소비위축으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