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언제나 상냥하게
언제나 상냥하게

설날에 떡꾹을 먹는 유래는 어디서 나오게 된걸까요?

설날에 떡국먹으면 한살먹었네하고 이야기들하시잖아요

어디서 이런부분이 생기게 된걸까요?

그럼 떡국먹지않을때는 어느 음식으로

먹었을지도 궁금해지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씩씩한거미4
    씩씩한거미4

    안녕하세요. carkoon입니다.

    떡국의 유래는 아주 오래되었습니다.

    또 떡국을 먹는것은 쌀문화권에서 흔히 보이는 문화구요.

    먼저, 떡은 쌀을 오래 보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떡을 만들어 말리면, 일반 쌀을 보관할때보다
    많은 양을 더 오래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습니다.

    인류의 식문화의 기본은 바로 장기보관에서 오는거구요.

    쌀로 떡을 만들어 말려 장기 보관하다가
    이걸 다시 물에 불려 끓이면 처음 떡을 만들었을때처럼 부드럽게 먹을 수 있으니,
    떡을 만들어 보관하는 방법은 효과적이어서, 쌀문화권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보관한 귀한 쌀떡은 겨우내 일용할 양식이 되어줍니다.

    하지만, 감자 고구마 같은 작물보다 귀한 쌀떡은 아무때나 먹을 수는 없죠.

    특별한날 가족들이 다 같이 먹는건 당연한거고,
    새해 첫날 가족들이 다 같이 떡국을 끓여 먹게 된 것입니다.

    이런 귀한 음식을 먹는 특별한 행사에는 여러 의미들을 부여하게 됩니다.

    새해에 떡국을 먹어야 한살을 먹는다는 식이죠.
    이 말은 1년에 한번은 꼭 먹어야 하지만, 자주 먹으면 안되다는 의미도 갖고 있는겁니다.


    그리고 문화권 별로 쌀떡의 모양,
    끓이는 방법이나, 장식하는 고명등등에서

    여러 주술적인 의미들이 추가 되기도 했습니다.

    가령, 동그란 떡국은 태양을 상징한다들지...
    뭐 그런 의미들이 붙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날에 흰 떡을 먹는 것은 고대의 태양 숭배 신앙에서 유래한것으로

    보이는데, 설날은 새해의 첫날이므로 밝음의 흰색의 떡을 사용한 것이며,

    떡국의 떡을 둥글게 하는 것은 태양의 둥근것을 상형한 것이라고 할수 있다

  • 안녕하세요. 꾀꼬리입니다.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는 새해가 되며 하얀색의 떡과 맑은국을 먹음으로 지난해의 좋지 않았던 일을 깨끗이 잊고 새로이 시작하는 의미로 떡국을 먹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