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행자
역행자23.05.28

굿과 푸닥거리 차이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주술적으로 잡귀를 쫓아 근접하지 않도록 하거나 몸에 붙어 있는 잡귀를 떼어버리는 주술적인 방법을 취하는 것이 굿과 푸닥거리 공통점으로 생각됩니다. 외에도 굿과 푸닥거리 차이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굿과 푸닥거리는 둘 다 우리나라의 무속의례 중 하나입니다. 이 둘의 차이를 생각해보면 규모의 차이와 공덕을 쌓는 차이가 아닐까 싶습니다.

    굿의 경우 옛날에 굿을 하게되면 공동제례의 성격을 띄었으며 당시 마을 축제와 같은 역할을 했습니다. 그에 비해 푸닥거리는 주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충을 해소하기 위한 개인제례였습니다. 그래서 굿은 최소 마을 단위로 지냈고 개인의 고민만을 위함이 아닌 마을단위로 공덕을 쌓는 의미가 들어가 있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8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 샤머니즘(무교)의 핵심 행사
    무당이 신과의 교섭을 통하여 인간사에 명을 비는 의식이자 마을 단위의 축제로서 다양한 문화적 성격을 띄는 활동. 무당은 굿이라 불리는 의식을 통해 여러 가지 행위를 하는데 작두의 날카로운 칼날 위에서 춤추거나 불 위에서 춤 추는 등 초인적인 행동을 통해 신격화되었음을 나타낸다. 간단히 설명하면, 굿은 신을 기쁘게 하여 인간의 소망을 이뤄달라고 비는 춤이고, 이러한 굿을 할 수 있는 사람을 무당이라고 부른다. 무당에는 다양한 분류가 있지만 모든 무교 행사는 바로 이 굿을 중심으로 앞과 뒤를 나눈다고 생각하면 좋을 정도로 핵심적인 위치에 있다. 애초에 종교의 신을 강령하는 행위이니 당연하다.

    잡귀에 의한 병을 치료하기 위한 무속의례(巫俗儀禮).

    내용

    홍수막이나 살풀이(살을 피하려고 하는 굿)가 예방적 의미가 강한 데 반하여 푸닥거리는 전적으로 치료를 위한 것이다. 귀신에 의한 병을 ‘귀책(鬼責)’이라 할 경우에는 주부 또는 무당이 푸닥거리를 행하여 잡귀를 쫓아야 병이 나을 수 있다고 믿고 행한다.

    무당이 아니고 일반가정의 주부가 하여도 되고, 때로는 푸닥거리와 같은 간단한 의례를 할 수 있는 할머니가 동네에 있는 경우도 있다. 푸닥거리의 형식은 병의 원인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개는 굿보다는 소규모의 간단한 주술적인 의례이다.

    굿이라면 3, 4명의 무당이 무악을 갖추어 신을 모셔서 즐겁게 하여 보내드리는 것이지만, 푸닥거리는 잡귀에게 간단한 제물을 주어서 주술적으로 잡귀를 쫓아 근접하지 않도록 하거나 몸에 붙어 있는 잡귀를 떼어버리는 주술적인 방법을 취하는 것이 보통이다. 무당 한 사람이 혼자서 고리짝을 긁으면서 무가를 주언하고, 되도록이면 원한을 버리고 근접하지 말고 멀리 가라는 말을 하는 것이 주요내용이다.

    보통 밥과 나물 정도의 간단한 제물을 바가지에 담아서 소반에 얹지 않고 땅에 놓는다. 이것은 이러한 간단한 음식으로 귀신이 요기나 하고 어디로 가라는 것이다. 많은 음식으로 잘 대접하면 다시 찾아오기 쉽기 때문에 잡귀를 멀리하려는 심리의 반영이다.

    고뿔(감기)이 들었을 때는 잡귀에 의한 병이라고는 하여도 비교적 가벼운 주술로 잡귀가 잘 달아날 수 있다고 믿어서 집안의 식구 중에서 식칼을 들고 푸닥거리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죽은이의 사령(死靈)인 상문(喪門)과 같은 귀신이 붙어서 생긴 병의 경우에는 죽을 운수가 되어 위험할 경우가 있다.

    이럴 때에는 상문을 벗기는 의례로 환자를 밖에 앉혀놓고 매장하는 장례식을 흉내내어 달고질 노래(상여 매장의 노래)를 하는 의식을 한다. 그러면 환자가 액을 면하고 나을 수 있다고 믿는다. 삼신(三神)이 노하여 병이 났을 때에는 미역국을 끓여서 귀신에게 바친다. 무녀가 하는 의례의 삽입이 있는 것을 제외하면 간단한 제물을 바가지에 담아서 놓고 식칼을 가지고 귀신을 위협하여 축귀하는 것은 공통적이다.

    식칼로 환자의 머리 부분을 휘둘러 귀신을 위협하여 쫓아서 사람의 병을 고치고자 하는 것이다. 그 고치는 방법은 병이 들었다고 하며 병이 나았다고 하는데, 병이 들어왔다가 나갔다는 뜻을 포함한다. 이것은 몸에 귀신이 붙었다가 나갔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푸닥거리는 이 귀신을 떼는 의례이다. 귀신을 몸에서 떼어 내거나 쫓는 것은 바로 귀신을 살해하여 죽여버린다는 뜻은 아니다.

    보이지 않는 곳으로 가거나 멀리 십리 밖으로 떠나가라는 것이 주된 축귀의 구조이다. 푸닥거리는 중병이 아닌 잔병을 일으킨 경우에 하는 의례이고, 이를 위협하여 낫게 하는 것이 주된 방법이다.

    무당만이 아니고 장님이나 보살에 의한 주술적인 의례도 가능하여 경문쟁이나 보살들이 푸닥거리를 하는 경우도 있다. 제주도에서는 ‘푸다시’라고 하는데, 이것은 주로 심방(무당)이 행하는 것으로 푸닥거리에 해당한다.

    출처: 나무위키 굿, [네이버 지식백과] 푸닥거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푸닥거리

    국어

    무당이 부정이나 살을 풀기 위해 간단하게 음식을 차려놓고 하는 굿 더보기

    푸닥거리

    영어

    an exorcismperform an exorcismexorcize 더보기

    몸에 감긴 것을 푸는 것을 푸닥거리(굿)이라고 합니다.

    몸에 감겼다고 느끼는 것을 직성(서기)라고 하며 이 감긴 것을 푸는 방법을 알는 것이 명기(신기)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푸닥거리의 방법이 문서가 되는 것 뿐입니다.

    그렇기에 어떤식으로 푸는지는 문서에 있는 것이 아니라 여깁니다. 문서란 과거부터 대체적으로 이렇게 해왔다를 문서화를 시킨 것에 불과하다 여깁니다. 물론 이것이 의미가 없다는 말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세대가 바뀌고 문화가 바뀌고 있는 시점에서 과거것만 고집해서는 좋다고 여기지 않고 있습니다. 내가 명확한 의도를 안다면 그 답은 신령님이 자연스럽게 알려주실 것이라 여깁니다.

    그래서 항상 내가 모시는 신령님에게 답을 구하는 것이 최고라 여깁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굿이라면 3, 4명의 무당이 무악을 갖추어 신을 모셔서 즐겁게 하여 보내드리는 것이지만, 푸닥거리는 잡귀에게 간단한 제물을 주어서 주술적으로 잡귀를 쫓아 근접하지 않도록 하거나 몸에 붙어 있는 잡귀를 떼어버리는 주술적인 방법을 취하는 것이 보통이다. 무당 한 사람이 혼자서 고리짝을 긁으면서 무가를 주언하고, 되도록이면 원한을 버리고 근접하지 말고 멀리 가라는 말을 하는 것이 주요내용이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